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산 송규 종사의「 일원상에 대하여」와 일원사상 고찰 (A Study Concerning Master Chongsan’s 「On Il-Won-Sang」and Il-Won Philosoph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12
32P 미리보기
정산 송규 종사의「 일원상에 대하여」와 일원사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8호 / 99 ~ 130페이지
    · 저자명 : 허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산 송규 종사가 1937년 9월『 회보』에 발표한「 일원상에 대하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 논서가 갖는 역사적, 사상적 의미를 원 불교 교리 형성과정과 근대 동아시아 사상의 흐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서는 일원상(一圓相)을 ‘전달력 있고 알기 쉬운 용어와 구성’을 통해 소개함으 로써 일원상 교리를 명료화하고, 그 보편적 이해를 확산시키려는 목적으로 저 술되었다. 주요 내용은 일원상진리의 내역과 성격을 철학적으로 개념화 하고, 일원상을 중심으로 한 자력과 타력의 병진구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일원상을 생활 속에서 활용하는 방법으로 신앙·숭배·체득·이용을 제시함으로써 실 천적인 교리체계를 구성하였다. 불법연구회는『 조선의 유사종교』 발간 이후 유사종교로 분류되었고 총독부의 본격적인 감시를 받았다. 이에 따라 불법연 구회 설립 이전에 초안된『 조선불교혁신론』을 1935년 발표하여 불교혁신 사 상과 제도의 틀을 정리하고, 불성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공식화하였다. 그 후 정산은「 일원상에 대하여」를 발표하여 일원상교리 체계를 확립해 나갔다. 불법연구회는 일원상 교리의 확립을 통해『 육대요령』의 교리체계에서 일원상 을 중심으로 한『 불교정전』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일제의 식민지 배로 인한 폭력과 불평등의 모순적 현실로부터 민중들의 정신적 주체성을 수 호하고 현실적 억압에 맞서 평등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종교사 상적 대응을 펼친 것이다. 이 논서는 일원상의 진리를 불교뿐만 아니라 유가의 진리관에 연결시켜 설명하였다. 이는 일원상이 제(諸) 종교의 세계관을 회통하 는 상징이라는 의미를 보여준다. 또한 유교에서 주로 밝힌 세간 도덕과 윤리를 불교의 궁극적 진리관과 통합함으로써 불법을 생활화 한 생활종교의 이념을 확립하고자 했다. 또한, 일원상 신앙의 정체성을 전체신앙·진리신앙·사실 신앙의 세 가지 측면으로 밝힘으로써 과거의 불합리하고 미신적인 신앙을 일 대 혁신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일원상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과 그 교리체 계를 관념적이고 사변적 개념 안에 가두지 않고, 신앙과 숭배, 체득과 이용이 라는 양 측면의 실천방법에 연결함으로써 우주론과 심성론, 그리고 실천론을 하나의 체계로 밝힌 점이 사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structure and contents of「 On Il-Won-Sang」,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Il-Won-Sang. I examine the text’s meaning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doctrine in Won -Buddhism. Written in an academic style, this text represents the initial dharma teachings of Master Chongsan, which summarize his perspectives on Il-Won-Sang.「 On Il-Won-Sang」 consists of 7 chapters which was first issued in Won-Buddhist Newsletter during 1937. It outlines the doctrine of Il-Won-Sang,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Image of One Circle"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my examination of「 On Il-Won-Sang」 and its formation of the initial doctrine of Il-Won-Sang. Abstractly and fragmentarily introduced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On Il-Won-Sang」 summarizes the Il-Won Sang theory with easy-to-understand terms and composition while concentrating and clarifying Il-Won Sang. The purpose of this text focuses not only on finding the identity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by establishing the ideological system of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 but this text also assists people who were in a crisis of losing their spiritual identity during Japanese colonialization to recover their own true nature and make a world of equality and peace. This text greatly enhances the doctrine of Il-Won-Sang by defining the philosophy and structure of its doctrines, including the truth, faith, worshiping, the modeling on and utilizing Il-Won-Sang. By linking the Dharma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especially through concepts such as Ki,「 On Il-Won-Sang」 clarifies the stance of Won -Buddhism which is tolerant of all religious philosophies while centering the dharma of Buddhism. Additionally, the tex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ity and social reformation by explaining how the Il-Won-Sang and its doctrine combine the realm of ultimate truth with human life. The truth and religious doctrines are not based on ideological or speculative theories but rather pursuing Mahayana and pract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s by presenting more applicable methodologies to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harmonization with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