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현대 한국불교 예송의례의 아우라 ―전승과 변용의 변증법― (The aura of the ritual for Yesong(禮誦, worshipful chant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 dialectic of the transmission and the transform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7.08
32P 미리보기
근현대 한국불교 예송의례의 아우라 ―전승과 변용의 변증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9권 / 131 ~ 162페이지
    · 저자명 : 이성운

    초록

    이 글은 근ㆍ현대 한국불교 예송의례의 아우라에 대해 전승과 변용을 변증법적으로 고찰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의례서적의 편찬 방식 등을 기준으로, '대각교의식'과 '석문의범' 등이 편찬된 20세기 초중반을 근대로, 불교의식을 현대와 같은 방식으로 편찬하기 시작한 20세기 중후반을 현대로 상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현행 조석의 7정례는 대웅전에 모신 존상과 큰 관련이 없는, 주전에서의 전통 예참의식 형태로서, 사찰의 전 대중이 참여하는 일상의례인데, 근대불교시기에 유사한 양태로 성립되기 시작하여 점차 변형을 겪으며 현대불교시기에 이르러 현행 양태로 변용되었다. 7정례가 한국불교사찰에 널리 보급된 것은 사실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국의 모든 사찰에서 동일하게 설행되는 의식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사찰의 새벽을 알리는 도량석이 현재와 같이 활용된 시기와 의미 등을 단정할 수는 없으나, 야간에 행해지는 시식(施食) 의식의 결계(結界)에 대(對)되는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우연의 일치일지 모르지만 현재 법성게가 ‘도량석’에서 주로 염송되는데, 이는 시식의식에 초대된 존재들이[諸法] 본래의 붓다[名爲佛]이고 그곳으로 돌아가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으므로, 그 의미와 역할이 묘하게 부합된다. 범종각의 사물인 법기들은 식당에서 출가 승려들이 음식을 먹을 때 울리던 것으로, 사찰에 재승(齋僧: 승려공양)이 들어왔을 때 야외에서 식당을 차리고 음식을 먹는 행위를 지휘하는 지휘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유나소인 종루(鐘樓)에서 활용되게 되어 종각에 모이게 되었다. 이 같은 역사 속에 예경과 송주의 도량석이나 종각의 사물은 본래 의미를 잃어버렸으나 각 의식과 사물은 탄생의 연기를 환기하여 깨달음을 되새기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considers the transmission and the transformation dialectically about the aura of the ritual for Yesong(禮誦, worshipful chant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To do this, I firstly divide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by means of the compilation of ritual-related books and the early and mid 20th century is postulated as modern times when Daegakgyouisik(大覺敎儀式, the rituals of the Maha-bodhi teaching) and Seokmuneubeom(釋門儀範, The Standard manual of the Buddhist rituals) were compiled and the mid and late 20th century is as contemporary.
    Current Chiljeongrye(七頂禮, the main devotional chant) conducting every morning and evening is not much related to the Buddha image in the main Buddha hall and is the daily ritual all the people in the temple attend. Its similar style came into existence in the modern times and got modified gradually and changed into its current style. It is true that Chiljeongrye has diffused widely in Korean temples but its identical style seems not to have been performed in all the Korean temples.
    It is not certain that when the current style of Doryangseok(道場石, bell chant in the early morning) began to be practiced and what its meaning is but it is sure to serve as a counterpoint to Gyeolgye(結界, the restricted territory) of the rites of Sisik(施食, banquet) performed at night. Beopseongge(法性偈, the song of Dharma nature) is mainly chanted in Doryangseok at present, which means the ones invited to the rites of Sisik are called Buddhas and are to return to the Buddhas' world. Therefore,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rituals are in accord with each other, which may be a coincidence.
    Beopgi(法器, vessels of the Dharma) of Samul(四物, four Buddhist percussion instruments) in Beomjonggak(梵鐘閣, the bell pavilion) used to be played when the monk and nuns eat in the dining room. They seemed to be put togetherinJonggak(鐘閣, the bell pavilion), Yunaso(維那所, the command post) where the monastery controller directed to set up the open dining room and to have a meal when food donation offered for monks and nuns.
    Yegyeong(禮敬, worship) and Songju(誦呪, recitation of mantras) in Doryangseok and Samul in Jonggak lost their original meaning passing through the times but each ritual and each of Samul plays a part in meditating enlightenment by calling one's attention to birth in dependent origination(緣起).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