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와 송의 교섭 배경과 항로 (The Background of Diplomacy between Paekche and Song, and the Sea rout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9
40P 미리보기
백제와 송의 교섭 배경과 항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17호 / 185 ~ 224페이지
    · 저자명 : 임동민

    초록

    백제는 한성기에 중국 강남의 송과 꾸준히 교섭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대체로 백제와 송의 관계를 실리적인 관계로 평가하였는데, 최근 연구들은 교섭 배경 중에 ‘고구려 견제’의 비중에 따라 나뉜다. ‘고구려 견제’의 비중을 낮게 보는 견해는 백제와 송의 낮은 교섭 빈도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교섭 빈도의 차이는 교섭 항로의 한계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교섭 항로의 안정성은 황해를 건너 중국과 교섭하는 백제에게 결정적 요소였기 때문이다.
    백제와 송의 교섭은 왕권 강화, 고구려·왜에 대한 외교적 견제, 선진문물의 도입, 교통의 요충지인 산동반도의 정세 파악 등을 위해 이루어졌다. 그런데도 백제와 송의 교섭 빈도는 같은 기간 고구려와 송의 교섭 빈도, 백제와 동진의 교섭 1기(372~386)에 있었던 교섭 빈도보다 절반 가까이 낮았다. 백제의 복합적인 교섭 배경에도 불구하고, 송과의 교섭 빈도가 낮은 것은 교섭 항로의 한계 때문이었다. 당시 교섭 항로는 황해도 남부에서 산동반도로 향하는 황해중부횡단항로로 생각되는데, 백제 주변 정세, 사신으로 파견된 인물, 산동반도 정세변화와의 연관성, 동진과의 교섭 항로 등을 종합한 추론이다. 그런데 황해도 남부는 4세기 말 이후 고구려의 지배 아래에 있었고, 이로 인하여 교섭 항로는 위협받았다. 고구려의 위협은 백제 사신 차단기록, 백제 개로왕 및 왜왕의 상표문에서 직접 확인되며, 425년 송의 조서에도 고구려 수역을 거쳐 온다는 표현이 나온다. 백제는 황해중부횡단항로로 송과 교섭하였지만, 황해도 남부의 고구려 수역을 거치면서 항로의 안정성을 담보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교섭 빈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백제는 송과의 교섭을 통해 실질적인 군사 원조는 기대할 수 없었고, 고구려에 대한 외교적 억지력을 유지하는 수준의 견제만 가능하였다. 백제 개로왕은 황해도 남부에 대한 일시적인 군사행동을 통해 한계를 잠시 극복하고 북위와 교섭하였으나, 한성함락으로 인하여 교섭 항로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극복하지 못하였다.

    영어초록

    During the 5th century, Paekche maintained a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Song located in the Jiangnan region. Whereas previous studies referred to such relationship as a practical one, some recent studies have emphasized the Paekche people’s possible intentions to put ‘Koguryŏ in check.’ Other studies seem not to be in agreement with such perspective, on the basis that frequency of negotiationss that went on between Paekche and Song was rather low, yet the issue of ‘negotiation frequency’ should in fact be examined with the issue of ‘negotiation routes’ in mind as well. Whether such routes were safe or not would have been a huge variable in Paekche’s relationship with China across the Yellow sea.
    Paekche’s relationship with Song was a product of various intentions, including reinforcement of the king’s leadership, diplomatic monitoring of Koguryŏ and Wa, reception of advanced culture from China, and gathering intelligence of the Shandong peninsula which was an important traffic point. Yet the frequency of Paekche-Song negotiations was far lower than (almost half of) that of the Koguryŏ-Song negotiations in the same time frame or even the Paekche-Eastern Jin negotiations between years 372 and 386. This must have been due to limitations that existed at the time in terms of the aforementioned negotiation routes. The route that was most usually taken seems to have been the route crossing the mid-section of the Yellow sea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Hwang’hae-do provinc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e Shandong peninsula of China, judging from circumstances surrounding Paekche and the Shandong peninsula, individuals who were sent as emissaries, and the route Paekche used in its relationship with Eastern Jin. Yet, Hwang’hae-do province’s southern part had been under Koguryŏ’s control since the end of the 4th century, and so the route originating there was far from safe.
    The Koguryŏ threat can be felt from records indicating that Koguryŏ stopped Paekche emissaries, and certain diplomatic communiques sent by Paekche King Kaero or the Japanese king. The Song edict issued in 425 also mentioned “(Paekche envoy’s) traversing the ‘Koguryŏ sea.’” The instability of the route which Paekche was using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Song across Koguryŏ sea space must have prevented Paekche from increasing its contacts with Song. Paekche could not expect military aid from Song and could only hope such relationship with Song would generate an effect of diplomatically restraining Koguryŏ. Paekche King Kaero launched a military campaign against Hwang’hae-do province’s southern part, and communicated with Northern Wei directly, overcoming previous difficulties temporarily, but with the collapse of Hansŏng, the route problems were never fundamentally resol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