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Ālambanaparīkṣā 제1송 해석의 문제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n the 1st verse of Ālambanaparīkṣā)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11
26P 미리보기
Ālambanaparīkṣā 제1송 해석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8호 / 153 ~ 178페이지
    · 저자명 : 김성옥

    초록

    진나(陳那, Dignāga)가 저술한 알람바나빠릭샤(Ālambanaparīkṣā)의 번역으로는 현장의 『관소연론』과 진제의 『무상사진론』이 전한다. 논서의 제명이 사뭇 다르다는 점과 함께, 양자의 번역은 제1송의 도입부에서 상당히 문제적인 차이점을 보여준다. “안[식] 등의 식은 외부대상을 소연으로 한다”는 외경실재론자의 주장을 제시함에 있어서, 현장은 5식으로 설명하는 반면에, 진제는 6식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진제는 의식을 포함한 6가지 인식대상 모두를 논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현장은 5식의 인식대상을 논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본 것이다.
    호법(護法)의 주석인 의정역 『관소연론석』과 조복천역 『관소연론석소(ĀPṬ)』를 살펴보면, 의정은 ‘안[식] 등’에 대하여 ‘오식신을 포함한다’고 해석한 반면에, 조복천은 ‘눈과 귀를 비롯하여 마음[意]까지를 포함한다’고 해석한다. 5식으로 설명하는 ‘현장-의정’의 계열과 6식으로 설명하는 ‘진제-조복천’의 계열이 서로 구분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의 해석에서 의식의 문제가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의정역 『관소연론석』에서 의식을 포함하여 6식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다만 의식이 전5식의 경우처럼 ‘한결같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 즉 의식은 세속유와 승의유 모두를 반연하는 까닭이다. 따라서 ‘수고로이 의식을 다루지 않았다’는 것은 일부의 의식이 포함되지만, 이를 논변하는 것이 번거로워 다루지 않았다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호법의 주석을 통해 제1송에서 제시되는 인식의 두 가지 조건, 이 문제에 대한 진나의 입장은 경량부가 제시한 두 가지 조건을 논박하고자 했던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대상은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진나의 의도는 그들이 제시하는 두 가지 조건이 잘못된 견해의 원인임을 지적하기 위하여, 그들의 논리를 차용하고 있는 것이다. 오히려 그들이 제시한 두 가지 조건에 부합하는 것은 인식 내부에 있는 것, 이른바 소연(所緣)임을 논증하고자 하는 것에서 진나가 본래 지닌 유식학적 면모를 읽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인식의 두 가지 조건을 수용하는 듯한 그의 태도는 경량부를 논박하기 위해 그들의 논리를 차용했던 것임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Ālambanaparīkṣā, written by Dignāga, was translated into the Chinese works of the Guan suoyuan lun (觀所緣論) by Xuanzang and the Wuxiang sichen lun (無相思塵論) by Paramārtha. With the difference of the titles, the translations of the two shows a considerable problematic difference at the beginning part about the first verse. In suggesting the claims of outside-realist that "the ālambana of cognition (e.g., a visual) is an external object", Xuanzang described the five types of consciousness, while Paramārtha described the six types of consciousness. This difference is due to Paramārtha’s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dispute all the six objects of cognition including mental consciousness, while Xuanzang assumed it enough to dispute the five objects of cognition.
    When we look at the translations of the commentary by Dharmapāla, while Yijing interpreted that it includes the fivefold assembly of consciousness in the Guan suoyuan lunshi (觀所緣論釋), Vinītadeva interpreted that it subsumes the mind (意), including eyes and ears and so on, in the Ālambanaparīkṣāṭīkā. There is som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s between the line of ‘Xuanzang-Yijing’ explaining with the five kinds of consciousness and the line of ‘Paramārtha-Vinītadeva’ explainig with the six kinds of consciousness.
    Nevertheless, we can notice that the problem of the mind consciousness is not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er. The reason for omitting the mind consciousness was that it is not ‘consistent like one [一向]’ such as the previous five kinds of consciousness (前五識). For the mental consciousness perceived both the ultimate existence and conventional existenc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commentary that “the mental consciousness is not treated with a trouble”, should be interpreted to involve a kind of mental consciousness naturally, but it was too burdensome to discuss.
    And we can find that the position of Dignāga about the two conditions of cognition in the first verse has the purpose to refute the two conditions suggested by the Sautrāntika. The external object are not able to meet both conditions of cognition. Dignāga's intention only borrows their logic to point out that the two conditions are the cause of the wrong view. Rather than the two conditions correspond with the inside part of cognition, that is to say the grasped part, namely ālambana (所緣), Dignāga's original intention as a Yogācāra philosopher can be noticed from the point of refuting the two conditions.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his motive, which seems to accept the two conditions of cognition, was to borrow the logic intentionally in order to dispute the Sautrāntik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