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목(許穆)의 <동해송(東海頌)>과 고학(古學)의 의미 (Heo Mog’s Donghaesong and the Meaning of Goha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10
25P 미리보기
허목(許穆)의 &lt;동해송(東海頌)&gt;과 고학(古學)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27호 / 173 ~ 197페이지
    · 저자명 : 백승호

    초록

    이 논문은 허목이 추구했던 상고주의(尙古主義)를 그 한시의 ‘형식’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 시도였다. 허목은 <서진고요모차(書進皐陶謨箚)>에서 고대의 문자, 고대의 문학 형식이 고대의 이상 정치와 긴밀하게 연관됨을 밝혔다. 허목의 이러한 의도를 잘 구현하고 있는 작품이 바로 <동해송>이다. <동해송>은 “송(頌)”이라는 『시경』에서 유래한 문학 형식을 표방하였다. 구성의 측면에서 3구 구성은 진시황의 지부각석(之罘刻石), 회계각석(會稽刻石)과 유사하고, 용운의 측면에서 삼구양운(三句兩韻) 또는 매구압운(每句押韻)을 사용한 것은 『시경』 「상송」 「현조(玄鳥)」편과 유사하다. <동해송>은 진 각석과 「상송」 「현조」편의 문학 형식을 완벽하게 구현하여 상고시대의 시의 형식을 17세기에 재현하였다. 또한 「척주동해비」라는 다른 명칭으로 불리듯, <동해송>을 고문으로 비석에 새겨 두기도 하였다. 이것은 허목이 <동해송>을 통해 표현 문자, 글의 형식, 내용의 측면에서 모두 삼대의 이상적인 모습을 재현하고자 했던 시도였다.
    <동해송> 외에도 <과소문국유감(過召文有感)>, <백제서망해요(百濟西望海謠)>, 『기언』 자서(自序) 등의 작품에서도 고대 문학의 형식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허목이 문자의 차원과 문학 형식의 차원에서 삼대의 문물을 재현했던 것은 하은주 삼대 시절 우리 땅에도 태평시대의 역사가 실재했음을 문학적으로 재현하려고 하는 작업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가 당시의 표기 문자, 문학 형식을 재현하여 우리 땅의 역사를 문헌적으로 뒷받침하였던 것은 상고 시절 우리 역사와 문물을 총체적으로 재현하는 문헌적 실천이자 당대에 그것이 재현되기를 바라는 전범의 제시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Heo mog(許穆)’s Sanggojuui(尙古主義) in terms of old poetry form. Heo revealed that the ancient letters and ancient literary form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idealistic politics in Seojingoyomocha(書進皐陶謨箚). Donghaesong was a work that embodies this intention well. Donghaesong expressed a literary form derived from Sigyeong Sangsong(詩經 商頌). In terms of composition, the three verses constituents were similar to Jinsihuang(秦始皇)‘s Jibugagseog(之罘刻石) and Hoegyegagseog(會稽刻石). In terms of rhyme, the use of Samguyangun(三句兩韻, double rhyme in three verse) or Maeguabun(每句押韻 every rhyme in every verse) is similar to Sigyeong Sangsong Hyeonjo's way of rhyme. Donghaesong completely embodied the literary forms of Jin Gagseog and Sangsong Hyunjo, which reproduced the poetry of the ancient times in the 17th century. In addition, as it is known as another name, “Cheogjudonghaebi” Donghaesong was engraved on the monument in ancient letters. This was an attempt by Huh to reproduce the three ideal era in terms of expressive characters, poetry form, and contents through Donghaesong.
    In addition to Donghaesong, he attempted to recreate the form of ancient literature in his works such as Guasomunyugam(過召文有感), Baegjeseomanghaeyo(百濟西望海謠), and Gieongjaseo. As such, Heo’s attempt to reproduce the literature and literary form of three old but ideal eras, was to try to reproduce literally that the history of the ideal era existed in our land in the old days of HaEunJu. To this end, he reproduced the ancient character and literary form of the time, testifying the history of our land i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