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類書의 『康熙字典』과 『韻府群玉』 인용 양상 -『松南雜識』의 경우- (The awareness of copyrigh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a Case of 『Songnamjapji(松南雜識)』-)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8.12
27P 미리보기
조선 후기 類書의 『康熙字典』과 『韻府群玉』 인용 양상 -『松南雜識』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31호 / 533 ~ 559페이지
    · 저자명 : 강민구

    초록

    조선의 지식인들은 타인의 저작을 인용할 때 표절에 대한 부정적 의식이 존재하였으며 타인의 저작을 인용할 때 일정한 원칙을 적용하였다. 본고는 중세 지식인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구명하고자 趙在三이 편찬한 『송남잡지』에서 가장 많은 인용 빈도를 점하는 『강희자전』과 『운부군옥』의 인용 양태를 분석하였다.
    『송남잡지』에서 『강희자전』이나 『운부군옥』이 원출전이라고 밝힌 경우는 『강희자전』과 『운부군옥』의 내용을 그대로 전재하고 있다. 이 경우는 『강희자전』이나 『운부군옥』이 다른 문헌을 인용하지 않은 것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송남잡지』가 『강희자전』이나 『운부군옥』에서 문장을 재인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 문헌을 출전으로 밝히지 않은 것은 그들 문헌이 다른 원전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조재삼은 『강희자전』과 『운부군옥』의 내용을 그대로 전재하지 않고 생략, 도치, 字句의 변개 등을 가하였다. 조재삼은 변개 없는 전재에 대해서는 『강희자전』과 『운부군옥』을 출전으로 명기하여야 하지만, 변개로 가공한 재인용의 경우에는 저작권으로부터 자유롭다고 생각한 것이다.
    또 『송남잡지』에는 출전을 ‘韻書’라는 범칭으로 표기한 것이 다수 있는데, 그것의 상당수는 『운부군옥』이다. 이는 『운부군옥』을 출전으로 명기하는 것과 명기하지 않는 것 사이에 존재하는 과도적 유형이다. 그러한 유형의 특징 중 하나는 『운부군옥』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은 것이다. 또 하나는 『운부군옥』의 2군데에서 인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만든 것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당한 變改가 가해지기 때문에 『운부군옥』의 저작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영어초록

    When an intellectual of the Joseon Dynasty quote their literatures from others, they have a negative awareness about a plagiarize. When they quote another's writing, they apply to a certain rule. For the inquiry of Joseon intellectual's copyright, this thesis analyze out a quotation aspect of 『Ganghuijajeon(康熙字典)』 and 『Unbugunok(韻府群玉)』 in a case of 『S ongnamjapji(松南雜識)』,

    A case of marking 『Ganghuijajeon(康熙字典)』 and 『Unbugunok(韻府群玉)』 as a original text in the 『Songnamjapji(松南雜識)』, it reprint from 『Ganghuijajeon』 and 『Unbugunok』 's contents as it stands. This case was restricted to 『Ganghuijajeon(康熙字典)』 and 『Unbugunok(韻府群玉)』 may not quote another literature. In spite of 『Songnamjapji(松南雜識)』quote again from 『Ganghuijajeon(康熙字典)』 and 『Unbugunok(韻府群玉)』, it didn't look into a original text. The reason why is that they quote another source book. In this case, the writer didn't reprint their contents, and give an ellipsis, hyperbation and verbal change. Jojaesam(趙在三) think that a copyright without a plagiarize should mark 『Ganghuijajeon(康熙字典)』 and 『Unbugunok(韻府群玉)』 as a source book. In a case of a quotation with a change, he think that it free from a copyright.
    In 『Songnamjapji(松南雜識)』, there are many case which mark it as a source book, and 『Unbugunok(韻府群玉)』 occupy the greater part of it. This type is the transitional pattern between writing expressly or not. one of characteristics is that right a wrong of 『Unbugunok(韻府群玉)』, The other is that quotation in two places of 『Unbugunok』 change into a completely different sentence. In this case, many change was given, he think that it free from a 『Unbugunok』 's copyr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