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장애인문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 연구- 『솟대문학』의 장애인문학 담론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discourse on literature for the disabled in ‘Sotdae Literature’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4
35P 미리보기
한국 장애인문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 연구- 『솟대문학』의 장애인문학 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82호 / 177 ~ 211페이지
    · 저자명 : 명수현, 박재국, 이순욱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장애인문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생산된 장애인문학 담론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장애인문학이 본격적으로 태동한 시기는 1980년대 후반이다. 이 시기 장애인문학의 등장을 가속화한 주요한 요인은 1980년대 활발하게 전개된 장애인 운동과 대중적 문학장에서 장애인문학의 흥행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1990년 방귀희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문인협회가 창립되고 1991년 장애인문학 전문 문예지 『솟대문학』가 창간됨으로써 장애인 문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문학은 본격적인 문학 장르로 부상하였으며, 문단 지형의 변동과 장애 인식의 전환을 촉구하는 문학 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다. 특히 『솟대문학』은 장애인문학의 개념과 역할, 의의, 전망을 비롯한 장애인문학 담론을 활발하게 생산하고 유통하는 매체로 기능하면서 장애인문학이 장애인의 현실과 사회적 부조리를 타개하는 정치성을 지녀야 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문학사의 전통 속에 장애인문학을 아로새기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면서 장애가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반영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애인문학은 한국문학의 타자적 위치에서 탈피해 문학의 보편성과 역사성, 정치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literature for the disabled and the discourse on literature for the disabled that developed in that process. Literature for the disabled was born in earnest in the late 1980s. The major factors that accelerated the emergence of literature for the disabled during this period were, first, the flow of various movements for the disabled that were actively developed in Korean society in the 1980s. Second, the popularity of literatu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popular literature in the 1980s. Subsequently, in 1990, the Korean Association of Disabled Writers was founded with Bang Gwi-hee at the center, thereby establishing a force for disabled writers. In 1991, the publication of Sotdae Literature, a literary magazine specializing in literatu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ured the media basis for literatu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disabled literature has become a full-fledged literary genre and the focal point of a literary movement that calls for changes in the literary landscape and enhanced awareness of disabilities.
    In particular, Sotdae Literature functions as a medium to actively produce and distribute discourses on literature for the disabled, including its concept, role, significance, and prospects. It also emphasized that literature for the disabled must have political practicality to overcome the reality and social injustice of the disabled. In addition, while actively carrying out the task of engraving literature on the disabled within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we sought to reveal that the issue of disability in literature for the disabled is a reflection of structural problems in society, through which literature for the disabled can break away from the position of others in Korean literature and acquire universality and histor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