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솟대놀음의 변화와 놀음의 미학 (A Study about the Change and Aesthetics of Sotdaenoleu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12
46P 미리보기
솟대놀음의 변화와 놀음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55호 / 199 ~ 244페이지
    · 저자명 : 한양명

    초록

    솟대쟁이패는 솟대를 중심으로 벌이는 솟대놀음과 죽방울받기, 살판, 얼른 등의 다양한 연행을 레퍼토리로 삼아 각처를 떠돌면서 공연을 펼치던 유랑예인집단이었다. 이들은 1936년에 원산에서 이루어진 공연을 끝으로 자취를 감추었는데, 그 본거지였던 진주에서 솟대쟁이놀음의 재현과 전승을 위한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진 끝에 2014년 9월 13일, 78년 만에 다시 솟대쟁이놀음이 연행되었다. 기량의 미숙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부족한 점이 눈에 띄었지만, 관중들의 열렬한 호응을 이끌어낸 이 날의 공연은 그 동안 남사당패를 통해 제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유랑예인집단의 놀음과 놀음의 미학을 되새겨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 동안 선행 연구를 통해서 솟대타기의 역사와 유형, 기예 등이 일정하게 밝혀졌지만, 역사 자료를 바탕으로 솟대놀음의 변화과정을 정치하게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솟대쟁이놀음의 존재양상과 성격 등을 탐색하는 작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주로 감로탱과 여타의 솟대 관련 그림 자료들을 분석해서 솟대의 유형과 변화상을 파악하고 솟대의 변화에 따른 솟대놀음의 추이를 살펴본 뒤, 놀음판의 운영과 연행의 원리를 탐색해보았다.
    연구 결과, 솟대의 형태는 ‘솟대단독형’과 ‘솟대-놀잇줄 연계형’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16세기 말 이후 솟대의 형태는 ‘솟대단독형 → 쌍줄일방경사형 → 쌍줄일방급경사형 → 쌍줄양방경사형 → 외줄일방급경사형 → 쌍줄일방완경사형 → 외줄양방완경사형’의 순서로 나타나서 전승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를 비중 있는 형태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18세기 초까지는 솟대단독형만이 전승되다가 이후 쌍줄이 결합하는데 처음에는 일방경사형의 쌍줄이 주를 이루었지만, 19세기 이후에는 일방완경사형의 쌍줄이 솟대와 결합함으로써 솟대놀음의 양상이 변화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솟대단독형으로 전승될 때는 다채롭고 수준 높은 기예를 펼쳤을 것으로 보이는 솟대놀음은, 솟대와 놀잇줄이 연계됨에 따라 고난도의 기예를 펼치는 것보다는 비교적 단순한 기예를 펼치면서 매호씨를 매개로 관객과 소통하고, 이 소통을 기반으로 광대와 관객이 함께 놀음판을 꾸려나가는 쪽으로 공연의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기예는 비교적 단순해졌지만 솟대타기뿐만 아니라 쌍줄백이가 따로 또는 같이 행해지고 매호씨의 역할이 커지는 한편 다양한 하위놀음이 결합함으로써 놀이판의 재미는 더해진 것이다.
    이렇듯 솟대쟁이놀음은 광대가 홀로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었다. 광대들, 특히 매호씨는 공연현장의 거시적 상황과 연행의 미시적 상황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판단해서 공연에 반영했는데, 이 때 활용된 것이 해월적 구성과 포월적 진행, 그리고 다초점의 미학에 근거한 동시성의 구현이었다. 놀이판의 상황과 관객의 반응에 따라 연행의 텍스트를 강조, 생략, 압축, 연장함으로써 관객의 입장을 반영하고 이런 맥락적 소통의 결과를 기반으로 놀음판을 꾸려나간 것이다. 이에 따라 놀음판의 전개과정은 불확정적이고 가변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이 불확정성과 가변성은 곧 솟대쟁이놀음이 광대와 매호씨, 매호씨와 관객의 소통 등 다차원의 소통을 바탕으로 놀이판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나가는 생성적 공연임을 말해주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Sotdajaengipae was wandering artist group which played variety of performances like a sotdaenoleum, salpan, diabolo. They disappear without a trace after performance of Wonsan in 1936. After a few years of hard work to reappear and transmission, September 13, 2014, the sotdaenoleum returns to Jinju just 78 years later. Performance of the day were lacking in many ways. Nevertheless, their performance did go over too well with the audience. Also,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discern true character and Aesthetics of wandering artist group like a namsadangpae.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sotdaenoleum’s history, type and art became clear.
    But, research on principle of performance, aesthetics, the way of performing which was based on historical data of sotdaenoleum is still unclear. In this situation, I analyzed the gamnotaeng and other picture data to prove type and transition of sotdae. Use these data, I had researched on principle of performance, aesthetics, the way of performing of the sotdaenoleum.
    As a result of study, There were two type of sotdae. One is ‘sotdae of solo’ and the other is ‘sotdae related rope’. after the end of 16th century, form of sotdae has been changed like a these type: ‘sotdae of solo’ → ‘sotdae of one side slope with two rope’ → ‘sotdae of one side steep slope with two rope’ → ‘sotdae of both side slope with two rope’ → ‘sotdae of one side steep rope with one rope’ → ‘sotdae of one side shelvy slope with two rope’ → ‘sotdae of both side shelvy slope with one rope’. To make a long story short focused on important form, the early 18th century, there were only ‘sotdae of solo’. After that time, sotdae has been combined with a rope. The early stage of sotdae combine rope, most of sotdae were sotdae of one side slope with two rope. After 19th century, sotdae combined two rope of on side shelvy slope. because of these change, sotdaenoleum's aspect prepared to change.
    On the ‘sotdae of solo’, sotdaenoleum had a colorful performances and high quality arts. After the combination with a rope, sotdaenoleum focused on simple art and communication with audience than colorful performances and High quality arts. Although performance and art has become simpler than ever, two rope play and witticism of maehossi made a more fun of sotdaenolrum.
    On the other hand, sotdaenoleum is not made up by clown alone. The clown, especially maehossi always observe not only macroscopic condition of field but also microscopic condition of performance to reflect in sotdaenoleum. At this point, maehossi utilize ‘Hawolitic composition’, ‘powolitic progress’, ‘simultaneity’s embodiment’ based on aesthetics of multi-focus in performance. according as condition of the performance field or reaction of the audience, maehossi manage a performance based on effect from the results of contextual communication utilize various techniques : Emphasized, omitted, compression, extension. Therefor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field have no option but uncertainty and flexible,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token of generative performance made by clown, maehossi, audience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