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치위생과와 비치위생과 학생의 잇솔질과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or th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and Tooth Brushing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9.03
7P 미리보기
치위생과와 비치위생과 학생의 잇솔질과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치위생과학회
    · 수록지 정보 : 치위생과학회지 / 9권 / 1호 / 121 ~ 127페이지
    · 저자명 : 오혜승

    초록

    본 연구는 S보건대학에 재학 중인 치위생과와 비치위생
    과 재학생 287여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향상을 위한 잇
    솔질과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잇솔질에 관한 특성부분에서 두과 모두 잇솔질 횟수
    는 하루에 2-3번(p < 0.05), 사용기간은 2-5개월(p >
    0.05), 잇솔질 방법은 두 과 모두 안다고 조사되었으
    나(p > 0.05), 잇솔모의 사용에서는 치위생과는 보통
    모(51.2%), 비치위생과는 부드러운모(51.5%)로 조사
    되었다(p > 0.05).
    2. 치실고리, 고무치간자극기, 물사출기, 혀세정기에 관
    한 인지도, 현재사용여부에서 두 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 > 0.05), 용도이해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3. 전동칫솔, 가그린에 관한 인지도, 현재사용여부에서
    두 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영어초록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is study on tooth brushing and a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for oral hygiene for 287 S Health College students some of whom major dental hygiene and some of whom don't relate to the department, and then has drawn out the results as below. 1. Relating to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2-3 times a day was the utmost case in both departments(p<0.05). 2. In use of toothbrush bristle,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used medium bristle(51.2%), while the student of other department used soft bristle(51.5%)(p>0.05). 3. In the term of tooth brush used, 2~5 months was the utmost case in both departments(p>0.05). 4. In tooth- brushing method, all the student of both departments said they knew how to do it(p>0.05). 5. In the acquisition of tooth brushing methods,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acquired it from dentistry 44.4%, and the students of other department from TV or Radio 47.5% (p>0.05)which was a quite high rate. 6. In reference to recognition level on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dental hygiene
    students said Yes 79.8%, and the other side students said No 63.9%(p<0.05). In re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a great number of students of both departments said No (p<0.05). 8. In reference to the chance to use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58.1% of
    dental hygiene students chose them with their own judgement, and 37.8% of other
    department students recommended by dentist´s offices(p<0.05). 9. Relating to the reason for not using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38.9%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said it's bothersome, and 56.7% of the other department students said they didn't know about these things(p<0.05). 10. In the recognition level of dental floss, in knowing the way to use it, whether or not of using it, the students of both depart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11. In the recognition level of floss holder and the yes or not of using it, there was an insignificant difference(p>0.05), while in understanding of i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12. Relating to the recognition level of electric tooth brush, yes or no of using it,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13. In the cognition level of rubber stimulator, yes or no of using it, there wasn't much difference, while in understanding to use i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14. In the understanding level of water pik, yes or not of using it, there wasn't a
    great deal of difference(p<0.05), but in inquiry of whether or not of using it,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15. In the understanding level of tongue scraper, whether or not of using it, there wasn't much difference(p>0.05), but in understanding to use it, there was a great deal of difference(p<0.05). 16. In the recognition of garglin, understanding of it, and whether or not of using it, the two departments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치위생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