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번역가의 왼손, 이중어사전의 통국가적 생산과 유통 -언어정리 사업으로 본 근대 한국(어문)학의 생성- (Translater's Left Hand, Transnational Inventing of Modern Korean Language -‘Republic of Korean Studies’ in Bilingual Dictionary -)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0.02
53P 미리보기
번역가의 왼손, 이중어사전의 통국가적 생산과 유통 -언어정리 사업으로 본 근대 한국(어문)학의 생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28권 / 93 ~ 145페이지
    · 저자명 : 황호덕

    초록

    “주시경, 미국인 제임스 게일, 독일인 신부 안토니오, 그리고 일본인 다카하시 토오루가 한어연구회(韓語硏究會)를 조직하다.” 1907년 『대한매일신보』의 기사이다. 이들은 후에 각각, 근대 한국어 연구의 아버지, 해방 전까지 가장 권위있는 한영사전 편찬자이자 성경 번역자, 한국학의 아카데미즘화를 기초지은 경성제대의 교수가 된다.
    신앙과 앎의 공동체, 만남과 서신과 읽기를 통해 구성되는 아카데미아 위의 협업과 경합은 이처럼 일국학의 통국가적 발생을 예고하고 있었다. 나는 이 글에서 19세기말 20세기초에 만들어진 이중어사전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국가 단위의 학술사로서는 좀처럼 포착되기 어려운 ‘학술공화국(Republic of Letters)’의 존재를 묘사해 보았다.
    최초의 믿을만한 한영사전인 제임스 게일의 『韓英字典(A Korean-English Dictionary)』은 그 이전의 한불자전, 한영자전, 옥편들로부터 언어 채집과 번역어 선택이 이루어졌으며, 한자를 그 자체로 형태소로 보고 대역(對譯)하는 관점은 중국학자 알렌 자일즈(Giles, Herbert Allen)의 중국학 연구와 중영자전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 빚진 것이었다. 한문학자이자 기독교신자였던 이창직, 이원모와 같은 무명의 학자들이 그의 사전 편찬과 한국 고전 번역, 『천로역정(Pilgrim's Progress)』을 비롯한 서양문학 번역에 협력했다.
    한국어는 생성 중에 있었다. 학술적 사고와 새로운 현상을 설명하는 근대어들의 유입에 의해, 게일의 사전은 적어도 세 차례 이상 증보 개정되었다. 그 원천은 『매일신보』, 『개벽』,『청춘』과 같은 한국잡지도 있었지만, 『井上和英大辭典(Inoue's Comprehensive Japanes-English Dictionary)』과 같은 일영사전의 역할이 컸다. 물론 조선총독부가 한국과 일본의 학자들의 공동작업으로 편찬한 『朝鮮語辭典』의 존재가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식민 권력 주도의 사전이 한국어를 한자라는 요소에 묶어두려 했던 것에 비해, 한국어를 서양어로 번역하는 이중어사전들은 당대의 언어 변화를 과잉에 가깝게 반영하였다. 그러니까, 언어 정리, 근대 학술어의 정리 및 의미확정을 담당한 것은 한국어사전이 아니라, 이중어사전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 위에서, 문세영과 조선어학회의 『조선어사전』, 『우리말사전』이 편찬되었고, 예컨대 이들 사전 편찬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났던 일국어, 일국학의 통국가적 구성과정은 점차 은폐되어 간다.
    결과는 어떻했을까. 식민화의 과정에 따른 언어유입을 반영하는 한편, 그것을 강화하는 형태로 사전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메이지 시기에 생산된 번역어의 약 90프로가 한국어사전에 현재까지도 남아있다.
    다양한 이념과 지(知)가 각축하는 식민화 공간 서울에서 펼쳐진 외국인과 한국인들의 협업은 또한 서양인, 중국인, 일본인들에 의해 이루어진 일본학과 중국학의 성과로부터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 한학(漢學)과 서양지식과 번역으로서의 일본 근대 학문이 분절되고 새로운 형태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오염의 과정’은 민족지(知), 국학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은폐되었고, 한국인이 한국어를 통해 하는 한국학이라는 신화가 성립하게 된다. 역설적인 말이지만 ‘순수한’ 민족학은 언제나 은폐된 중역, 한국어라는 크레올에 의해 발화될 수 밖에 없었다. 이중어사전을 쥐고 있는 번역가의 왼손, 거기서 한국의 근대 학술은 태어났다. 그리고 오른손은 왼손 몰래 국학을 쓰는 필기구를 들기 시작했다.

    영어초록

    One article of the newspaper in 1907 attracts us with its convincing evidence that shows how modern Korean Studies has been born in Korea. "Joo, Si-gyeong(周時經), American-James Gale, German priest-Antonio, and Japanese-Dakahashi Toru(高橋亨) has organized the Association for the research of Korean Language(韓語硏究會)." Later on, these people respectively played important roles: a father of the study of modern Korean Language, a compiler of Korean-English dictionary as well as a translator of the Bible who has the great authority until the independence of 1945, and a professor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who laid the cornerstone of academism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academia, cooperation and concurrence, composed of faith, community of Knowledge, meeting, letters, and reading, have presumed the total-national birth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tudies. In this article, I intensionally described 'Republic of Letters(學術共和國)' itself that is barely seized with the academic history of the nation unit, focusing on doublet dictionary made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James Gale's A Korean-English Dictionary(『韓英字典』, that seems like the first-trustworthy Korean-English dictionary) collected the languages and decided translated terms from the existing Korean-French dictionary, Korean-English dictionary, and Chinese-Korean dictionary; besides, the view point considering Chinese Character as a morpheme itself was indebted to Chinese Literature Study from Chinese scholar-Herbert Allen Giles and his A Chinese-English Dictionary. Indistinct researchers such as YI, Chang-jik and Yi Won-mo, who were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and also believers of Protestantism, cooperated with him(James Gale) to compile the dictionary and translate Korean classic, Western-literature like Pilgrim's Progress (『天路歷程』).
    Korean Language was in the middle of formation. With the flow of modern language describing academic speculations and new phenomena, Gale's dictionary has been revised and enlarged at least more than three times. Of course Korean Journals such as 『Daily News(每日申報)』, 『The Creation(開闢)』, 『Youth(靑春)』were the source of enlargement, but on top of that, Japanese-English dictionary like 『Inoue's Comprehensive Japanes-English Dictionary(井上和英大辭典)』was the meritorious retainer of work.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edited by Koreans Japanese scholars and Japanese bureaucrats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朝鮮總督府) also affected the work. Compared to Japanese-leading dictionary which tried to minimize Korean Language in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 bilingual dictionaries that translate Korean into Western Language had over-reflected transformations of language in those days. Therefore, it was not the Korean dictionary, but the bilingual dictionaries which was in charge of arranging and settling the language, and modern academic terms. Korean Dictionary(朝鮮語辭典)』from Mun, Se-young and Korean Language Institute(朝鮮語學會) was published on such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ransnational study and language had been secretly covered.
    What would the consequence be like? On the one hand, the inflow of the language was applied based on the procedure of colo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vision of dictionary was made with reinforcing the stream. Therefore, nearly 90% of translated terms by chinese character arrived in Meiji(明治) is still remained in Korean dictionary as Korean words.
    The cooperation between foreigners and Koreans in the place, Seoul, where various ideologies and knowledges were contended was also affected by accomplishment of Japanese studies and Chinese studies also. On such path,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studies, Japanese modern academicism considered as western knowledge’ translation have articulated and arranged with a new constellation. However, this trinity as origin of Korean Studies has concealed by national knowledge and ideology of national study; in the mean time, the myth, ‘Korean study’(國學) that is limited to Korean people with Korean language has formated. 'Pure' national study has been spoken by Creole Korean, which refers retranslation that is always hidden. Translater's left hand holding a doublet dictionary is the place where Korea's modern academy was created. and the right hand begins holding a pen writing Korean studies not letting the left hand k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