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팔 없는 여인>과 <손 없는 색시>의 비교를 통해 (A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 Through Comparison between and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7.11
24P 미리보기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lt;팔 없는 여인&gt;과 &lt;손 없는 색시&gt;의 비교를 통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65호 / 3 ~ 26페이지
    · 저자명 : 김형복, 이행선

    초록

    본 논문에서는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몽골과 한국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설화를 활용하여 문화 비교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몽골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학습이 책보다는 구전에 의한 옛이야기에 의해 이루어져 그들에게 설화는 아주 친숙한 소재이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 학습에 설화를 활용하면, 흥미 유발과 배경지식 활성화에 유용하다. 그리고 몽골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학습은 학습자 중심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한국 문화 수업이나 문화 교재는 한국 문화에서 출발하여 한국 문화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모티브가 유사한 양국의 설화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자가 비교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자연스럽게 자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의 의의를 밝혔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가정 안에서 생활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이기 때문에 일방적인 한국 문화 수용만을 강조할 수 없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의 모국 문화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수반을 강조해야 한다. 양국의 설화 비교는 그런 점에서 의의가 깊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유의미한 몽골 설화로 <팔 없는 여인>, 그에 대응하는 한국 설화 <손 없는 색시>의 문화 교육적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두 설화는 주인공이 여성이며, 특히, 여성이 일생 동안 수행하게 되는 딸,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분명히 드러난다. 그리고 ‘결혼’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이 직․간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여러 문제들이 설화 속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교육적 의의가 있다. 셋째, 두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설화 속에 공통으로 드러나는 문화 교육 요소를 선정하였다. 먼저 가족 관계에 초점을 두고 문화 교육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설화의 주요 모티브인 ‘손’과 관련한 관용어를 언어문화 교육 요소로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의 모형을, ‘설화 읽기 교수-학습’과 ‘문화 교수-학습’으로 나누고, 그 실제를 수업 활동을 예로 들어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searched for a method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comparison using folktales common to Mongolia and Korea. Since Mongolia is traditionally based on nomadic life, the learning is done by word of mouth rather than by books. As a result, storytelling is very familiar to Mongolian speaking learners. Therefore, using the folktales in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of Mongolian learners is very useful for stimulating interest and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Mongolian folktales can be for the Learner-Centered Approach. Because, Korean culture classes have focusing on delivery Korean cultural knowledge culture in the textbooks so far. In addition, the learners can naturally perceive his own culture and Korean culture objectively by comparing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ales with similar motifs.
    We have discuss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I explained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of folktales. We can not force the marriage migrant women to accept Korean culture unilaterally because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n which they should live with Korean fami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hile maintaining the foundation of their culture. Comparing the folktales of both countries is significant in that respect. Second, I mentioned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education comparing folktales, between the Mongolian folktale <The woman without arms> and the Korean folktale <The bride without hands>. The hero of two stories are female. In particular, The hero of two stories play many roles as lifelong daughters, wives, daughters-in-law, and mothers. It is significant because there are many problems through 'marriage' to marriage migrant women directly or indirectly. Third, we selected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which are common in two sto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We extracted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from the stories focusing on human relations, and idioms related to 'hand'. Fourth,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suggested the model of the Korean culture clas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folktales. It is divided into 'folktales reading teaching–learning’ and 'cultural teaching–learning'. I presented the actual practice of the class as an exa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