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향촌 재지사족의 향현 추숭활동 연구 - 孫起陽 추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ity of local Worthies(鄕賢) worship of Jaeji-sajok(在地士族) in Local Society in late Chosun Dynast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03
44P 미리보기
조선후기 향촌 재지사족의 향현 추숭활동 연구 - 孫起陽 추숭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6호 / 51 ~ 94페이지
    · 저자명 : 장동표

    초록

    본 연구는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향현 追崇 활동을 경상도 밀양출신 孫起陽(1559∼1617)에 대한 추숭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손기양은 임진왜란 시기 의병활동, 鄕禮와 家禮의 실천, 道學의 정립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써, 국가적 차원과 향당적 차원의 추숭 덕목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그에 대한 추숭활동은 비교적 늦게 시작되어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엽까지 전개되었다. 손기양에 대한 추숭 활동은 후손들에 의한 사적인 추모 활동, 여러 단위의 재지사족이 향사의 공식적 승인을 국가에 요청하는 呈狀 활동, 경상도 각 지역의 서원과 향교 및 사우에서 발행한 通文을 통한 향사 여론 조성 등 세 가지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정장과 통문에 서명한 재지사족은 연인원 모두 3천 명이 넘을 정도로 많았다. 정장에 대한 회답은 대부분 국가의 禁令 조치로 인해 향사 승인이 어렵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손기양에 대한 추숭이 공식 승인된 것인지에 대한 명료한 자료는 없지만, 1844년(헌종 10) 향중의 公論에 의한 享祀가 사실상 이루어진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손기양 추숭은 후손들이 증수한 七灘亭에 편액을 걸어 七灘書院이라 하고, 서원 옆의 별사를 淸節祠라 하면서, 마침내 공론에 바탕한 추숭 활동의 결실이 맺어지게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cases of local worthies(鄕賢) worship of Jaeji-sajok(在地士族) compared mainly with worship for Son Gi-Yang(孫起陽). He is a man who resisted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as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and also strove to establish local ceremonial code, family rituals and Neo-Confucianism. Therefore, he was qualified for worship in national and local society. The worship movement for him was quiet late and its implementation was under late 18th century and middle 19th century. The activities of worship for Son Gi-Yang were under three ways : private reverence by his descendant, Jeong-jang(呈狀) movement that Jaeji-sajok asked government for official approval of ritual and development of the public opinion for ritual with Tong-mun(通文) which is a document by Seowon(書院), Hyanggyo(鄕校) and Sawoo(祠宇). The huge number of Jaeji-sajok’s who signed Tong-mun and Jeong-jang were over 3 thousand. The answer from government was almost that approval of ritual would have not been easy because of prohibition. It is not clear yet if worship for Son Gi-Yang was approved because clear evidence or materials are not enough. In 1844(Heonjong; 憲宗 10) it is obvious that activties of ritual was actually implemented by public opinion of local society. The worship for Son Gi-Yang based on public opinion was finally successful after his descendants opened Chiltan-Seowon(七灘書院) hanging a framed picture on Chiltan-Jeong(七灘亭) pavilion and called a shrine Cheongjeol-Sa(淸節祠) next to Seow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