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손소(孫昭) 적개공신화상(敵愾功臣畫像)의특징과 사료적 가치 (The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Portrait of Son So, a Jeokgae Merit Vassal)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12
25P 미리보기
손소(孫昭) 적개공신화상(敵愾功臣畫像)의특징과 사료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수록지 정보 : 한국복식 / 42호 / 73 ~ 97페이지
    · 저자명 : 윤진영

    초록

    1476년(성종 7)에 그린 <손소 적개공신화상>은 조선초기 공신화상의 주요 특징을 전해주는 자료이다. 반측면의 얼굴 방향을 취한 형식은 <손소 공신화상>에서부터 시작되었고, 형태감과 세부 묘사에는 15세기 초상화로서의 높은 완성도가 잘 나타나 있다. 1476년 세조어진(世祖御眞)을 모사할 때참여한 최경(崔涇), 안귀생(安貴生), 배련(裵連) 등의 화원이 적개공신화상 제작에 참여하였을 가능성을 짚어보았다.
    손소가 1467년 적개공신에 녹훈된 지 10년이 지난 시점에 공신화상이 제작된 것은 연이은 국장(國葬)과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섭정기(攝政期) 등 매우 혼란한 시기를 거쳤기 때문으로 보았다.
    1476년 성종이 친정(親政)을 강화하면서 공신의 예우에 관심을 가진 것이 10년 전 중단된 적개공신화상의 제작 배경이 되었던 것으로 추측하였다.
    공신상은 입각도형(立閣圖形)이라 하여 충훈부(忠勳府)에 한 본을 보관하는 것이 공신교서(功臣校書)에 기록되었으나 태종이 이를 시행하지 않은 정황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손소 공신화상>은 당시한 본만이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손소 공신화상>은 1795년 이명기(李命基, 1756∼1802 이후)에 의해 이모본(移模本) 한 본이 그려졌다. 손소의 후손인 손국제(孫國濟, 1719∼1795)가 당시 장수찰방(長水察訪)인 이명기에게 부탁하여 그린 것이다. 이명기와 주고받은 세 통의 간찰이 전하고 있다.
    <손소 공신화상>은 15세기 공신복식의 전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첩리(帖裏)와 답호(褡穫)의 묘사, 직금흉배(織金胸背)와 품계의 관계, 오사모(烏紗帽)와 각의 표현, 협금화(挾金靴)의 착용, 그리고 1936년에 촬영한 사진 속에 나타난 1735년의 이모본 세조어진의 대략적인형상을 통해 특징을 살펴보았다. <손소 공신화상>은 복식의 시대성을 담고 있는 자료이며, 조선초기공신화상이 지닌 다양한 시사점을 살필 수 있는 사례로서 공신화상의 연구 범위를 확충해주는 자료라는 데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e Portrait of Son So, a Jeokgae Merit Vassal (1476, Year 7 of the reign of KingSungjong of Joseon Dynasty) is a historical art piece exemplifying the characteristics ofearly Joseon dynasty vassal portraits. The art form of displaying the model’s face froma slightly horizontal angle started from this piece, complete with the model’s form anddetails shown clearly for a 15th century portrait. From these information, we canspeculate that the same court painters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Sejo Eojin (世祖御眞, Portrait of King Sejo), three of whom being Choi Kyeong(崔涇), Ahn Guisaeng(安貴生), and Bae Ryeon(裵連), also had a part or influence in the making of this portraitas well.
    The portrait of Son So was created 10 years after Son was appointed Jeokgae MeritVassal (敵愾功臣). My personnel opinion regarding the delay is pointed to the fact thatin the following years, series of kings’ deaths, subsequent mourning periods, andregency of Queen JeongHee(貞熹王后, the king’s grandmother) in stead of the youngking took place. It was only in 1476, when the king personally took control of hispowers, did any project on honoring the merit vassals resumed, along with The Portraitof Son So.
    The vassal portraits were called Ipgakdohyeong and by rule a copy is stored inChunghun-bu (an early Joseon ministerial branch in charge of works on vassals ofmerit). However a record exists of King Taejong inquiring of this procedure not beingcarried out at the time. Therefore we can speculate that The Portrait of Son So, aJeokgae Merit Vassal is the only vassal portrait of Son remaining. A replica art of ThePortrait of Son So was painted in 1795 by one Myeonggi Lee, a Jangsu Chalbang(長水察訪, a minor official in charge of messenger stables in Jangsu region) by request ofKookje Son, Son So’s descendant. Three letters between the two regarding thecommissioning of The Portrait, remain to this day.
    The Portrait of Son So, a Jeokgae Merit Vassal is the epitome of 15th centuryportraits of vassals of merit. Its importance is highlighted by depictions of Cheomni (帖裏, Man’s coat) and Da-po (褡穫, Man’s coat with half sleeves), Ji-ggeum Hyungbae (織金胸背, Insignia made from embroidered silk with supplementary gold wefts) and itscorrelation to Pumgye, expressions of O-sa-mo (烏紗帽, Official’s coronet) and Gak (角,the ‘prongs’ on the o-sa-mo), and Hyeopgeumhwa (挾金靴, officials’ boots), all ofwhich are cross-referenced with the 1936 photograph of 1735 art replica of Sejo Eojin(Portrait of King Sejo). The Portrait of Son So captures the artistic character of thetimes. Various implications that early Joseon Dynasty merit vassals portraits possesscan be explored, further expanding the range of related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복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