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르그손의 아인슈타인 비판-무엇이 잘못되었나? (2)-상대성 이론의 역설에 대한 베르그손의 오해 (Title: Bergson's critique of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What is the Error? (2) - the Paradox of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Bergson's Misconception thereof)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9.02
39P 미리보기
베르그손의 아인슈타인 비판-무엇이 잘못되었나? (2)-상대성 이론의 역설에 대한 베르그손의 오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31호 / 297 ~ 335페이지
    · 저자명 : 조현수

    초록

    운동하는 물체는 <시간의 느려짐>을 겪게 된다는 상대성 이론의 주장으로부터는 하나의 유명한 역설이 따라 나온다. 상대성 이론은 절대적인 기준좌표계의 존재를 부정하기 때문에, 모든 운동은 상대적임을 주장한다. 따라서 서로에 대해 운동하는 두 물체 S와 S’는 각자 서로 상대방의 시간이 자기 자신의 시간보다 더 느리게 흐른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처럼 ‘S는 자신의 시간보다 S’의 시간이 더 느리게 흐른다고 주장하는 반면 S’는 S의 시간이 자신의 시간보다 더 느리게 흐른다고 주장하게 된다’는 의미에서 <시간의 느려짐>은 상호적인réciproque 현상이다: 즉, 모든 운동은 상대적인 것이기에, S와 S’는 둘 다 똑같이 동등하게 ‘상대방이야말로 운동으로 인해 <시간의 느려짐>을 겪고 있다’라고 각자 주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S의 시간이 S’의 시간보다 더 느리게 흐르는 것과 동시에à la fois, 또한 S’의 시간이 S의 시간보다 더 느리게 흐르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다시 말해, S의 시간이 S’의 시간보다 더 느리게 흐르면서도, 또한 동시에 à la fois 더 빠르게 흐르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이것이 바로 상대성 이론의 역설이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시간과 공간을 서로 전혀 이질적인 것으로서 구분해왔다. 하지만 상대성 이론은 어떻게 해서 시간과 공간을 하나의 연속체로 통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시간과 공간은 실은 전혀 서로 이질적인 것이 아니며 실제로는 본래 하나인 것을, 다만 우리들의 인식방식이 서로 이질적인 둘인 것으로 구분할 뿐이라는 것을 상대성 이론은 보여준 것이다. 베르그손은 이처럼 시간과 공간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은 결국 <시간을 공간화>하여 세계로부터 생성의 실재성을 부인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생성의 철학자 베르그손이 상대성 이론에 대립하게 되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이며, 그가 보기에 저 역설은 상대성 이론에 대한 그의 이런 대립과 비판을 정당화해주는 명분이었던 것이다. 베르그손이 보기에, 상대성 이론의 저 역설은 도저히 합리적으로 해결될 수 없는 논리적 모순이며, 따라서 이는 상대성 이론이 주장하는 <시간의 느려짐>이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베르그손은 이처럼 <시간의 느려짐>의 실재성을 부인하기 위해서 아주 훌륭하고 적절한 듯이 보이는 비유적 논변을 제시한다. 우리는 오늘의 논문에서 훌륭한 듯이 보이는 이 논변이 저지르는 오류가 무엇인지를 밝혀내고, 아울러 상대성 이론은 저 역설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 하였다.

    영어초록

    A celebrated paradox derives from the <Time-dilatation> that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attributes to the moving bodies. We can formulate this paradox as follows: as Einstein maintains, movement is completely relative, so that, if two bodies, for example S and S′, are in movement relative to each other, each of them will respectively claim that it is the other one's time, not his own, suffering a <time-dilatation>. In other words, from the point of view of S, the time of S′, which moves relative to him, goes slower than his own time, while, from the point of view of S′, it is the time of S which goes slower than his own time. However, is it possible that the time of S goes slower than that of S′, at the same time that the time of S′ goes slower than that of S:? That is, is it possible that the time of S goes slower and faster at the same time in relation to that of S′? This is the paradox.
    From long ago, people have believed that tim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space, so that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especially it's conception of <space-time of four dimensions> as the true structure of the objective world, arrived to show how space and time can be unified into one single continuum, which means that they are, in reality, not two different things, but are only two different views of one integrated thing. Moreover, this is not the real objective structure of the world, but only our habitual way of representing it, which makes us consider time and space as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Yet all that this way of representing does is to dissect wholly artificially into two different parts things which are, in reality, one and the same. Bergson, however, opposes this relativistic unification of space and time for the reason that this unification, which operates on the grounds of spatialization of time, will bring the result of eliminating totally the becoming from the world. As a philosopher who is profoundly convinced of the reality of becoming and of the creative evolution of the world, he could never admit such a result. Hence, he proceeds to invoke the paradox as capable of betraying definitely the fallacy of the Theory of Relativity. He maintains that this paradox can be solved only on the condition that the relativistic <time-dilatation> is not real.
    In this paper, explicit examination of the errors of this Bergsonian appreciation of the paradox of the Theory of Relativity is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