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탈을 통한 일상의 회복: 탈출과 도피를 통해 사회문제를 만나는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미술관 속으로 탈출하기(Escaping into the Museum)> (Recovery of Everyday Life through Deviation: An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that Encounters Social Issues through Escape and Escapism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10
30P 미리보기
일탈을 통한 일상의 회복: 탈출과 도피를 통해 사회문제를 만나는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lt;미술관 속으로 탈출하기(Escaping into the Museum)&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과 교육 / 25권 / 4호 / 141 ~ 170페이지
    · 저자명 : 정혜연

    초록

    본 연구는 다회차 온라인/오프라인 블렌디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이 참여자에게 작품 해석의 주체가 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제11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인 <하루하루 탈출한다(One Escape at a Time)>의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교육 워크숍 <미술관 속으로 탈출하기(Escaping into the Museum)>를 사례로 하는 참여적 실행연구이다. <미술관 속으로 탈출하기>를 기획하는 과정과 실행을 탐색하고 1, 2차 온라인 수업과 3차시 미술관에서의 대면 수업 내용과 연속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수자가 참여자에게 작품을 소개하고 해석하도록 하는 상호과정을 분석하였다. <미술관 속으로 탈출하기>의 교수자는 작품에 대해 질문과 관찰에 대한 안내만을 제공하고, 참여자에게 작품의 해석에 관한 전적인 “권한 부여”(Roberts 1997)를 주었다. 참여자가 작품을 온라인으로 감상하여 디자인한 박스인 “나만의 집”은 미술관에서 집합체가 되고, 참여자는 그 렌즈를 통해 미디어시티 비엔날레의 작품을 감상하였다. 참여자의 각각의 집합체들은 천장에 매달아 설치미술로 만들었다. 이러한 활동은 참여자들에게 “작가 되기”의 경험을 제공하였고, 설치작품은 “소셜 오브젝트”가 되어 참여자, 교수자, 일반 관람객과의 교류를 생성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a multi-session online/offline blended museum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program participants with an educational experience in which they become the subjects of art interpretation. This study i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using the case of the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educational workshop “Escaping into the Museum” of the 11th Seoul Media City Biennale One Escape at a Time. In order to explore the planning process and implementation of “Escaping into the Museum” and analyze the nature of its education, we examined the content and continuity of the 1st and 2nd online classes and the 3rd face-to-face class at the museum, and also analyzed the interaction content of the process in which the instructor introduced and interpreted the artwork to the participants. In “Escape into the Museum,” the instructor only provided guidance on questions and observations about the artwork, and the participants were given full “authority” to interpret the artwork (Roberts, 1997). The “My Own House,” a box designed by the participants after viewing the artwork online, became a collective in a face-to-face class at the museum, and the artwork of the Media City Biennale was viewed through that collective. The final result of the entire three-period program was an “installation art” in which the collective (a collection of My Own Houses) came together and hung from the ceiling. This not only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the experience of becoming artists, but also became a social object that created interac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structors, and the general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