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독일어권의 문학과 철학적 사유 속에 나타난 대화와 소통의 문제 - Fr. 뒤렌마트(Dürrenmatt)와 J. 하버마스(Habermas)를 중심으로 - (Dialog und Kommunikation im literarischen und philosophischen Gedanken des gegenwärtigen Deutschland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0.09
27P 미리보기
현대 독일어권의 문학과 철학적 사유 속에 나타난 대화와 소통의 문제 - Fr. 뒤렌마트(Dürrenmatt)와 J. 하버마스(Habermas)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57호 / 145 ~ 171페이지
    · 저자명 : 차제순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 독일의 문학과 철학적 사유 속에 나타난 대화와 소통의 문제를, 전후 문단을 대표하는 극작가이자 소설가인 뒤렌마트(Friedrich Dürrenmatt, 1921-1990)와 2세대 비판이론의 대표 주자인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1929-)의 사유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는데 있다.
    스위스 출신의 극작가이자 소설가인 뒤렌마트는 전후 브레히트 연극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그를 넘어서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였다. 뒤렌마트는 현대인이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물질문명사회에 살면서 서로를 잘 이해하고 있으며, 전화나 전신, 팩스 같은 기계장치를 통해 인간들 상호 간에 항시적으로 소통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가시적인 현상에만 집착함으로써 발생한 착각일 수 있으며 오히려 물질의 풍요는 사람 사이의 진정한 소통을 지속적으로 어렵게 만들고 있음을 다양한 극적 장치를 통해 그로테스크한 방식으로 보여주고 있다.
    하버마스는 근대 이후 강요된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이성 중심적 사고방식의 문제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날카롭게 분석한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등 1세대 프랑크푸르트 학파 선배들의 업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이들이 정확한 문제제기에 반해 자신들이 제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했다는 세간의 비판을 수용하고 스스로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꾸준히 노력하였다. 즉 그는 1세대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가들의 이성에 대한 극단적인 부정과 다소 체념적이고 회의적인 세계인식에 대항하여, 전통적 사유의 유산을 비판적으로 계승할 수 있는 새롭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는 서구의 근대화 이후 이성이 범했던 오류를 인정하고 반성해야 하지만, 이성의 역할과 기능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서는 안 된다는 입장에 기초한다. 오히려 현대사회의 근본문제는 이성, 계몽, 합리성 등의 전통적인 개념을 새롭게 인식하고, 이들이 근대 이후 왜 그리고 어떻게 잘못 사용되었는지 명확히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만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버마스는 이성의 타락한 상황을 도구적 이성으로 명명하였으며, 이 도구적 이성에게 제자리를 잡아줄 수 있는 의사소통적 이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사유와 구상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버마스의 후기 대표작으로 꼽히는『의사소통행위이론』에서 제시되고 있다.
    뒤렌마트와 하버마스는 각각 극작가와 철학자로서, 현대사회의 특성 및 그 안에 놓여있는 인간의 정신적 상황과 위기를 다소 상이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으나, 양자 모두 현대인이 처한 문제의 핵심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두 지성의 입장을 비교해 보고 그들의 이론으로부터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가 취할 바는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untersuchen wir zuerst das Thema des Grotesken von Friedrich Dürrenmatt im Zusammenhang mit der Kommunikationstheorie. Dabei geht es vor allem um den Versuch, einerseits die zeitgenössische Diskussion um das Groteske, die sich auf die Begriffsbestimmung zu beschränken schien, kritisch zu überschauen, andererseits das Phänomen des Grotesken anhand der Beispiele der Hörspiele von Dürrenmatt von struktuell her zu betrachten.
    Jürgen Habermas'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ist der Versuch einer allgemeinen Gesellschaftstheorie auf der Basis einer Kommunikationstheorie. Wir versuchen, an ausgewälten Abschnitten des umfangreichen Werks Habermas‘ Kommunikationstheorie zu veranschaulichen, ihre Begriffe zu definieren und ihre Grundlagen zu klären. Anschließend soll geklärt werden, wie weit und warum Habermas zur Frankfurter Schule gezählt werden kann bzw. was ihn von anderen Vertretern der Kritischen Theorie unterscheid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