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규율, 저항 그리고 주체성 재구성: <가여운 것들> 속 벨라의 성장 여정 - 주디스 버틀러의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이론을 중심으로 (Discipline, Resistance, and the Reconstruction of Subjectivity: Bella's Journey of Growth in Poor Things - From the Perspective of Judith Butler's Post-Structuralist Feminist Theory)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5.04
13P 미리보기
규율, 저항 그리고 주체성 재구성: &lt;가여운 것들&gt; 속 벨라의 성장 여정 - 주디스 버틀러의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25권 / 4호 / 220 ~ 232페이지
    · 저자명 : 최명호

    초록

    본 논문은 제80회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작인 영화 <가여운 것들>(Poor Things, 2023)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이론을 기반으로 텍스트 분석과 영상 분석을 결합한 방법을 활용하여, 영화의 주인공 벨라(Bella)가 초기에 수동적이고 규율되는 개체에서 점차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주체로 성장해 가는 과정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벨라가 과학자 고드윈(Godwin)에 의해 부활한 후의 탐색 여정 속에서, 사회적 젠더 규범과 권력 메커니즘이 자신을 어떻게 규율하고 통제하는지를 점차 자각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의심하고 저항함으로써 자신의 주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들이 기존의 사회적 규율 체계 안에서 겪는 한계와 이를 돌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이는 젠더 주체성 이론을 더욱 풍부하게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페미니즘 영화비평에도 보다 섬세하고 통합적인 분석 시각을 제공하여, 현실 사회 속 여성 주체의 각성과 사회적 젠더 규범의 돌파에 대한 성찰과 실천을 촉진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Poor Things (2023), winner of the Golden Lion at the 80th Venice Film Festival, employing Judith Butler’s post-structuralist feminist theory and integrating textual and visual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film’s protagonist, Bella, gradually transforms from a passive and disciplined individual into an active, autonomous subject. Specifically, it examines Bella’s journey after being resurrected by the scientist Godwin, highlighting how she progressively recognizes the gender norms and power mechanisms that discipline and control her. Through conscious questioning and resistance to these constraints, she reconstructs her subjectivity.This study also explores the limitations women face within existing disciplinary structures and their potential pathways for overcoming them. In doing so, it contributes to enriching and developing theories of gendered subjectivity while offering a more nuanced and integrated analytical perspective for feminist film criticism. Ultimately, it aims to foster critical reflection and practical engagement regarding women's subjectivity and the disruption of gender norms in contemporary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