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중영화 속 여성 표상과 초국적 페미니즘 연대의 전망 -영화 <박열>에 나타난 가네코 후미코의 표상을 중심으로- (Women’s Representation in Popular Film and the Prospect of Transnational Feminist Solidarity― Focusing on Kaneko Fumiko’s representation in the film “Anarchist from the Colony”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12
34P 미리보기
대중영화 속 여성 표상과 초국적 페미니즘 연대의 전망 -영화 &lt;박열&gt;에 나타난 가네코 후미코의 표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31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김이진

    초록

    영화 <박열>에 나타난 가네코 후미코의 표상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본 영화는 가네코의 사상을 재현하는 것에 중점을 둔 영화는 아니나, 가네코를 주체적이고 당당한 여성으로 묘사한다. 다음으로 영화는 가네코와 박열의 사랑을 중심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기존의 가네코 표상과 맥을 같이 하지만, 동거서약에 대한 묘사를 통해 민족과 젠더를 넘어선 연대를 보여준다. 더불어 가네코와 박열이 옥중에서 혼인신고를 하기까지의 경위를 통해 가네코가 근대 가족 제도에 종속되지 않고자 저항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 속에서 제시된 가네코와 박열의 사진은 가네코의 사후 일본 정치 세력들에 의해 외설적으로 해석된 바 있으나, 영화가 대중적으로 긍정적인 반향을 일으키면서 퇴폐적이라고 여겨지던 사진의 이미지가 탈피된다. 본 영화는 한국에서 페미니즘의 조류가 일기 시작한 때에 공개되었고, 일본에서도 한국의 문학과 서적을 통해 페미니즘의 물결이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시기에 소개되었다. 한국에서 그려낸 일본인 여성의 표상이 영화를 통해 일으킨 반향은 대중 영화를 통해 초국적 페미니즘의 교류를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Kaneko Fumiko in the popular film “Anarchist from the Colony”. The paper confirms how women’s representations are reproduced in popular film and discusses the prospect of transnational feminist solidarity suggested by this film in the tide of feminism between Korea and Japan.
    Before the film was released, the solid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towards Kaneko was linked to the area where she had lived. There were also representations of Kaneko in other artistic genres such as novels and plays. Howeve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film has aroused public interest in her both in Korea and Japan. The depiction of Kaneko Fumiko in this film can be understood in three ways. First of all, the film does not focus on reproducing her thoughts. Nevertheless, it describes Kaneko as a subjective and dignified woma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film made use of Kaneko’s handwritten notes and trial records while emphasizing historical evidenc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n emphasis on film directing,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consciousness of the tide related to feminism in Korean society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the film. While presenting both the aspect of Kaneko’s feminism and making it invisible at the same time, it presents a new image of women that is different from the earlier representation of Kaneko Fumiko and the depiction of Japanese women in Korean films.
    Secondly, the film focuses on the love of Kaneko and Park Yeol. Although this is similar to existing representations of Kaneko, it shows the solidarity among subordinate subjects through the description of Kaneko’s and Park’s pledge to live together. Kaneko was able to sympathize with Koreans through he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s an unregistered person. Through this empathy, she finds herself in Park as an “enlarged ego”. In addition, the pledge to live together proposed to Park by Kaneko shows not only solidarity beyond nationality but also solidarity beyond gender. The content of the pledge that Kaneko proposes to Park, and the process of filing a marriage in prison shows she struggled to resist the modern family system as a woman.
    Finally, the film symbolizes the relationship of Kaneko and Park as companions and lovers through a photo depicting the two as a couple. After Kaneko’s death, the photograph was interpreted obscenely by Japanese political forces. However, the image of the two has been reinterpreted positively, as their image is popularized.
    The film was released at the beginning of the tide of feminism in Korea, and was introduced in Japan when the wave of feminism was reverberating through Korean literature and books. The representation of Japanese women produced by Korean film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eeking interchange of transnational feminism through popular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