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대중문화와 한국의 통치성 : 자기 제한 장치에서 플랫폼 속의 소비재로, 나아가 규제 회피의 회랑으로 (Japanese Popular Culture and Korea’s Governmentali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10
32P 미리보기
일본 대중문화와 한국의 통치성 : 자기 제한 장치에서 플랫폼 속의 소비재로, 나아가 규제 회피의 회랑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54권 / 123 ~ 154페이지
    · 저자명 : 남상욱

    초록

    이 글은 한국에서 일본 대중문화의 규제와 개방의 양상을, 통치성과의 관련성 속에서 고찰한다.
    1965년 한일협정 이후 한국 정부는 한편으로는 근대화를 지향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서방세계의 일원에 걸맞는 ‘자유’를 생산해야 했으므로, 극장이나 TV 같은 공적 공간에서는 일본 대중문화를 규제하면서도 사적 공간에서는 허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자기 규제 담론가 보수신문과 대학생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었는데, 이것이야말로 자유 속의 ‘위험’을 스스로 발견하고 스스로 제한한다고 하는 신자유주의 통치술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일본 대중문화를 사회의 잠재적인 위험요소로 간주하는 경향은, 그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1990년대 중반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예컨대 일본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예술성을 높이 평가한 『Kino』조차도, 일본 대중문화가 가지고 있는 섹슈얼리티 표상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점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Kino』는 일본 대중문화의 미학성만을 부각시키고, 그것이 가지고 있는 세속성을 자율적으로 배제했는데, 이것은 일본 대중문화가 그 자체로 지니는 세속성을 배제한 채로 일본 대중문화가 개방되는 시대적 분위기와 맞닿아 있다.
    1998년 일본 대중문화의 개방에 맞춰 NGO 같은 조직을 활용해서라도 저속한 문화에 대한 자율적인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보수 언론을 통해서 제기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인터넷을 통한 세계화가 촉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규제뿐만 아니라 내셔널리즘에 의지하는 자율적 규제 역시 쉽지 않게 된다. 이 시점에서 일본 대중문화는 정부의 규제만이 아니라, 보편적인 인권사상이나 종교적 양심에 기반한 자기 규제를 회피하는 주체들이 모이는 하나의 통로로 이미지화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at aspects of the regulatory and openness to Japanese popular culture in Korea, in relation to governmentality.
    After the Korea-Japan Agreement in 1965, the Korean government had to restrict the Japanese pop culture in public spaces such as theaters and TV, but allowed it in private spaces. As a reaction to this, discourse of self-regulation against Japanese popular culture has repeated in conservative newspapers and college students movement. Thi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neoliberalism, which finds ‘risk’ in freedom and restricts itself by itself.
    The tendency to regard Japanese popular culture as a potential risk for society continued even in the midst of the 1990’s, when there was growing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For example, even Kino, that highly appreciated the artistry of Japanese movies and animation, expressed concern about the representation of sexuality in Japanese popular culture. Kino emphasized only the aesthetic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and autonomously excluded the secularity of it:this is in line with the atmosphere of the era when Japanese pop culture opens, excluding the secular nature of Japanese pop culture itself.
    In 1998, in response to the opening of Japanese pop culture, the opinion of conservative media suggests that self-regulation of vulgar culture is necessary even if NGOs are used. However, as globalization through the Internet is being promoted, self-regulation based on nationalism as well as government regulation becomes difficult. At this point, Japanese pop culture is imaged as a channel in which gathering subjects who want to avoid self-regulation based on universal human rights or religious conscience, not just government reg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