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판타지 애니메이션에 보이는 고령자 스테레오타입의 활용 패턴 분석 - 고전문학 속 유사 모티브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 (Analysis of the Application Pattern of Stereotypes for the Elderly in Japanese Fantasy Animation -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similar motifs in classical literature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9
20P 미리보기
일본 판타지 애니메이션에 보이는 고령자 스테레오타입의 활용 패턴 분석 - 고전문학 속 유사 모티브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語文學 / 1권 / 98호 / 235 ~ 254페이지
    · 저자명 : 조유미

    초록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영화 속에 등장하는 고령자 캐릭터의 고정화된 역할에 주목하여 고령자 스테레오타입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애니메이션 영화 속 캐릭터는 시각적, 청각적 요소가 주는 제한된 정보로 관객이 캐릭터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캐릭터를 설정함에 있어 관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캐릭터가 속한 카테고리의 인물을 보편화된 특징으로 표현하게 된다.
    한 공동체가 공유하는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인물의 특징을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이라고 한다. 성별, 나이 등을 분류하여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인물상을 공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영화에 공통으로 보이는 고령자 캐릭터의 특징을 도출해 내는 것은 해당 연령층에 대해 고착화된 관념을 역으로 추적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분석 대상으로는 미야자키 하야오(宮崎駿)의 《모노노케히메(もののけ姫)》, 신카이 마코토(新海誠)의 《너의 이름은.(君の名は。)》, 《날씨의 아이(天気の子)》, 《스즈메의 문단속(すずめの戸締まり)》 네 영화 안에 등장하는 고령의 캐릭터이다. 이 작품들은 일본 영화 시장에서 흥행 상위권을 차지하는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영화 속에 보이는 공통된 고령자 캐릭터의 활용기법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또한, 고전문학 속에서 쓰인 유사한 모티브를 분석함으로써 일본 사회가 갖는 고령자 스테레오타입의 기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8세기 문학작품인 《니혼쇼키(日本書紀)》와 당대 풍토 지리지인 〈후도키(風土記)〉 속 ‘고로(古老)’의 용례를 통해 표현기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고전문학에 등장하는 고령의 인물과 애니메이션 영화에 보이는 고령자 캐릭터의 공통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고령자 스테레오타입의 활용 패턴을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fixed role of older characters in animated films and analyzes the stereotypes of older people. To this end, four animated films that were successful in the Japanese film market were selected, including Hayao Miyazaki’s “Mononokehime,” Makoto Shinkai’s “Your Name,” “The Weather Child,” and “The Door of Suzume.” In addition, we analyze similar motifs used in classical literature to find the origin of the stereotype of older people in Japanese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 the expression technique through the use of “Nihonshoki,” an 8th-century literary work, and “Koro” in “Fudoki,” a local geography of the time. We would like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elderly older characters in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elderly charactersthose in animation movies to find outdetermine the usage pattern of the elderly stereo typethe stereotype of older people. We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older characters in classical literature and those in animation movies to determine the usage pattern of the stereotype of older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語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