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전환기 개신교 선교문서 속 ‘죽음’ 이야기의 양상과 그 의미 - 애니 베어드의 선교문서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Missionary Documents by Annie Baird: The Pattern Found in the Story of “Death” in Protestant Missionary Documents throughout the Modernization Period and Its Implication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2.09
36P 미리보기
근대 전환기 개신교 선교문서 속 ‘죽음’ 이야기의 양상과 그 의미 - 애니 베어드의 선교문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82호 / 117 ~ 152페이지
    · 저자명 : 허순우

    초록

    죽음과 그것을 둘러싼 문제들은 시대를 초월한 인류의 관심사이다. 사람들은 합리적, 과학적 사고가 발달하면 죽음에 대한 이해가 선명해져 그에 대한 불안이 감소할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달로 오히려 인간의 유한성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된 오늘날 다시금 종교적 사고를 통해 죽음의 의미를 생각하고, 그것이 삶의 총체적 의미 획득에 기여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들이 들린다. 과학은 인간의 죽음을 물질화, 파편화하여 이해하도록 하지만 인간은 죽음과 그 이후를 포함한 자신의 전 생애가 총체성을 갖길 기대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인 선교사 애니 베어드의 선교문서 <고영규전> 등에 나타난 ‘죽음’ 관련 이야기들을 통해, 합리성, 과학, 계몽 등이 핵심어로 제시되기 시작하던 근대 전환기 당시, 개신교 선교사가 조선인들에게 설파한 기독교적인 죽음관과 영생관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애니 베어드는 육체적 죽음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명확한 선악관을 가지고 내세에 의미를 두며 오늘을 윤리적으로 살아간다면 죽음은 단절이 아니라 새로운 삶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서, ‘영생의 문’으로 의미화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고, 그것을 피 전도인들에게 전하려 했다. 생의 끝을 죽음이라 생각하고 살면 매일이 허무한 것을 향해 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육체적 죽음 이후의 영생을 목표로 삼는다면 현세에서의 삶과 내세에서의 삶이 통합되기 때문에 더 이상 죽음은 허무한 것도, 또 두려운 것도 아닌 희망적인 ‘과정’이 된다는 점을 역설한 것이다. 애니 베어드는 ‘죽음’의 이러한 속성과 의미를 대중적인 언어와 형식을 빌려 선교문서로 표현함으로써, 근대 전환기 조선 사람들의 죽음관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하겠다.

    영어초록

    Questions about and surrounding death have always been a source of anxiety for people. In the past, it was anticipated that as science and reason advanced, our comprehension of death would become clearer, lowering our worry over it. But as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dvanced,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to reexamine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death and consider how it relates to the larger search for the meaning of life. Humans still expect their entire life—including their death and what comes after—to have one cohesive meaning, despite the fact that science has made it 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human death from a materialistic and fragmented perspective.
    This paper takes a glimpse into the Christian doctrine of death and eternal life was proclaimed to the Korean population in the modernizing period, when rationality, science, and enlightenment started to be used as buzzwords. In particular, the story of 'death' in Annie Baird's missionary writings, including "Go Young-Gyujeon", is considered. Annie Baird believed that even though we cannot completely deny physical death, if we live morally today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good and evil, death would signify the "portal to an eternal life" that leads us to a new life instead of the severance from life. Annie Baird understood and emphasized death as a part of life. It was the point she was making throughout her missionary efforts to the audience. She made a point of stating that if you view death as the end of life, then every day seems to be in vain. However, if you strive for salvation and eternal life after physical death, then death is no longer something to be feared or in vain because life in this world and life after become unified as one and in har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