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설화 속 하위계층의 주체화 문제 고찰―증여를 통한 관계의 재구성과 도덕적 정당화 방식―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human-beings of the lower class in the late Joseon stories―Reorganization of social relations through gift and moral justificatio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8
23P 미리보기
조선후기 설화 속 하위계층의 주체화 문제 고찰―증여를 통한 관계의 재구성과 도덕적 정당화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4호 / 447 ~ 469페이지
    · 저자명 : 홍나래

    초록

    본 논문은 조선후기 이야기들 중 트릭스터 유형인 <곰과 싸운 노귀찬>, 노비의 신분상승 유형인 <양반 행세한 최승선>, 보은담 유형인 <금비녀를 찾아준 선비>를 중심으로 하위계층 등장인물들이 양반들과 맺는 새로운 관계 정립의 문제에 주목하여, 이들의 도덕적 정체성과 인정, 신분 윤리에 대한 저항과 균열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현실에서 불가능해 보인 자신들의 욕망을 열렬히 좇다가, 결국 현실의 규범과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 신화⋅영웅시대의 질서를 모방하거나 후하게 베풀거나 기도를 하면서 공동체의 근본적인 도덕 질서를 환기시키며 새로운 사회적 관계맺음을 시도하게 되었다.
    신성하거나 초월적인 힘에 대한 믿음은 공동체에 두려우면서도 매혹적인 감정을 불러일으켜 이성을 넘어서는 판단의 근거로 작동하게 되는데, 신화적 폭력으로 인정투쟁을 벌인 노귀찬뿐만 아니라, 최승선과 서리 처에 나타난 초월적 증여에서도 체제전복적인 폭력⋅힘이 내재되어 있었다.
    곧 하위계층 인물들은 폭력이나 선물, 축복을 통해 강렬하고 위협적으로 기존 신분질서와 규범을 흔들면서 기득권에 주체로의 인정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는 당대 하위계층이 기존 사회의 윤리⋅규범을 따르면서도 새로이 자신의 도덕적 위상을 세우며힘 있는 존재로 자기 삶을 전환시키길 강렬히 지향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studied three types of stor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stories introduced three special characters, one is the trickster man who fought a bear, another is the lower class man who pretended a noble man, and the other is the woman who sincerely prayed for 25 years. I have noticed the problem of establishing a new social relationship between lower classes and noble man in these stories, therefore I examined what were their moral identity and how they could gain public recognition, even the characters were cracking their ethics of caste system in some ways.
    They fervently pursued their desires which seemed impossible in reality. In order to escape the norms of reality, they imitated mythic hero’s behavior or gave the gift generously which aroused the fundamental moral orders in community, and then tried to establish new social relations.
    People are afraid and attracted by divine or transcendent power, so the experience of divine or transcendent power makes the people judge beyond reason. The story showed mythical violence when the notorious man were fighting with great bear, the other stories showed hidden violence when lower class person tried to gift an immense wealth or powerful pray for high class person .
    I interpreted main action of these stories, that is lower class person threatened the social order through violence, gifts, and blessings. Because those days, the lower class people seemed to follow the ethics and norms of the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they seeked for new morality which make theirselves to become their own subjectivity of human-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