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형지안 속 驛人의 거주지 양상과 특징 -1747년 『沙斤道形止案』을 중심으로- (Residenc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Yeokin(驛人) in Joseon Dynasty Form Registration(形止案) -Focusing on the Sagundo Hyeongjian of 1747-)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5.02
34P 미리보기
조선후기 형지안 속 驛人의 거주지 양상과 특징 -1747년 『沙斤道形止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93호 / 121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효은

    초록

    본 연구는 1747년에 작성된 『沙斤道形止案』을 분석하여 역인들의 거주 양상을 고찰했다. 형지안은 찰방이 주도하여 역인의 변동을 파악하고, 역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沙斤道形止案』에서 역인들은 호를 단위로 기록되었으며, 직역, 성명, 연령, 사조 정보, 거주지, 잡탈 상황 등이 상세히 기재되었다. 일수는 역리, 역노비와 달리 호가 아닌 개인 단위로 기록되었다.
    역호의 주호를 기준으로 볼 때, 전체 역호 중 56%가 역촌에 거주했지만, 29% 이상이 동일 군현(12%) 또는 타 군현(17%)에 거주하고 있었다. 특히 사근도의 본역인 사근역에서는 타 군현 거주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근역이 역도의 행정 업무를 담당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속역은 역촌이나 해당 군현 거주 비율이 높았지만, 일부 역호는 원거리 지역에 거주하기도 했다. 이러한 거주 형태의 다양성은 역인의 입역 형태와 역도의 특성, 그리고 혼인, 역전 분배, 납공과 같은 다양한 요인과 관련된다. 즉, 역인들은 혼인을 통해 타 역도나 군현으로 이동하기도 하고, 역전이 반드시 역 소재지에만 설치되지 않아 거주지가 분산되기도 했다. 또한 납공 제도가 확산되면서 역인이 산거하여 거주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역도는 역인의 거주지를 보다 철저히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형지안은 역인의 직역을 기준으로 소속을 파악했으며, 역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더라도 소속 역인으로 간주했다. 거주지가 미기재된 역호는 대부분 도망이나 사망으로 역역 수행이 불가능한 상태였으며, 특히 일수의 경우 노제로 역에서 제외되면 거주지를 기재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형지안을 통해 확인된 역인의 거주 양상은 역도가 군현을 넘어선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역인을 관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며, 역인 파악의 필요성이 군현이 아닌 역도 차원에서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agundo Hyeongjian (沙斤道形止案, Form Registration of Sagundo) of 1747 to examine the residence patterns of Yeokin (驛人, postal station worker) in late Joseon, aiming to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Yeokdo (驛道, organized groups of postal stations) postal system. The Hyeongjian, compiled by the Chalbang (察訪, chief of Yeokdo), recorded Yeokin in Ho (戶, household) units, including details like Jikyeok (職役, service type), name, age, ancestral information, residence, and escape history. Notably, Ilsus (日守, daily laborers) were recorded individually, unlike Yeokri (驛吏, postal station personnel) and Yeoknobi (驛奴婢, postal station slave). Interestingly, some Sagun Station (沙斤驛) Yeokri resided outside their assigned Gunhyeon (郡縣, prefecture-county), showing that Yeokin did not necessarily live within station locations.
    While 56% of Yeokho(驛戶, household of postal station) resided in Yeokchon(驛村, postal station village), over 29% lived elsewhere, either within the same Gunhyeon or in different Gunhyeon. Sagunyeok had a higher proportion of external residents, likely due to its administrative role. Sokyeok (屬驛, branch postal stations) had more local residents, but some Yeokho lived far away. These patterns stemmed from Yeokin’s recruitment, Yeokdo characteristics, and factors like marriage, Yeokjeon (驛田, postal station land) allocation, and Napgong (納貢, tax in service payment). The Hyeongjian categorized Yeokin by Jikyeok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Missing residence records usually indicated inability to serve due to death or escape. The study shows the Yeokdo managed Yeokin across a wide area, surpassing Gunhyeon boundaries, highlighting the need for Yeokin tracking at the Yeokdo level, not the Gunhyeon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