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화 현상 속에 형성된 문화 정체성 측면에서 한국 미술교육의 “전통”에 대한 담론 고찰 (Critical Reflection on Issues of Cultural Identity in the Globalizing World and the Discourse of “Tradition” in Korean Art Educ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9.07
22P 미리보기
세계화 현상 속에 형성된 문화 정체성 측면에서 한국 미술교육의 “전통”에 대한 담론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과 교육 / 10권 / 2호 / 79 ~ 100페이지
    · 저자명 : 정옥희

    초록

    세계화 속에 유동적인 문화 정체성 형성을 논하는 후기구조주의자들의 관점은 미술교육에서 우리가 당연시 믿어 왔던 “전통”이라는 담론에 대한 고정 관념 속에 형성된 문화 정체성에 대한 자각을 제공한다. 이러한 자각은 문화의 다양성과 다원화를 추구하는 세계화를 지향하는 현대사회에서 문화적 정체성 형성의 측면에서 제도화된 미술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근대화의 과정과 함께 한국 미술교육에의 서구 이론의 수용의 역사적 맥락에서, 미술교육과정 속에 “전통적인 것”들에 대한 주장과 견해는 문화 이데올로기의 권력 구조 속에서 헤게모니 측면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한국의 미술교육과정 내용이 그동안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문화재와 미술품들보다는 서양 미술과 서구 교육이론에 의존해서 구성되어왔다고 본다면, 최근 세계화 현상에 따른 정체성의 형성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 속에서 이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적 경계를 넘나드는 세계화 현상 속에 문화의 다원성을 존중하고자 하는 미술교육의 패러다임 전이를 위해서는 한국 미술교육의 담론 속에서 형성되어온 “전통”에 관한 고정 관념 속에 형성된 문화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한국 미술교육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함께 비판적으로 고찰되고 분석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ddresses the issue of the different ideas of cultural identity constructed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art education in which Western pedagogies have been dominant. The current conflict between advocates of Western ideas and those who seek to protect mor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in Korean art education could stem from the different tensions between an essentialist view and a more relativistic view of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identity. However, within the recent phenomenon of globalization, questions of culture and identity become diverse and complex, since the increase in global cultural exchange along with concerns for pluralism and diversity has led to a more problematical idea of identity. This notion of fluidity of identity formation provides a critical insight into the history of Western influence on Korean art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formations of cultural identity, therefore, a critical analysis of how cultural identities have been constructed by such political discourses and practices as Western influences on Korean art education,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how “pedagogised identities” are formed by the art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construct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s. This implicates that all educational discourses and practices in institutionalized art curricula produce the mechanism of cultural ideology and power controlling human life. Consequently, cultural influences on Korean art education should be critically examined in terms of identity formation. Especially, it should be criticized whether or not the view of "tradition" in Korean art education derives from a fixed idea of cultural identity, which may be problematized within the phenomenon of glob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