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학철과 윤석남의 작품 속에 재현된 어머니상: 민중미술 시기(1980-1994)를 중심으로 (The Mother Image Reflected in the Paintings and Sculptures of Hak Cheol Shin and Seok Nahm Yoon: During the Minjoong Misool Period(1980-1994))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3.06
23P 미리보기
신학철과 윤석남의 작품 속에 재현된 어머니상: 민중미술 시기(1980-1994)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40호 / 173 ~ 195페이지
    · 저자명 : 김의연

    초록

    본고는 1980년부터 1994년까지 민중미술 시기에 그려진 신학철과 윤석남의 어머니 상에 대한 연구이다. 그들이 활동했던 시기에 어머니 혹은 모성을 강조하는 경향은 미술뿐 아니라 민중가요나 화보 등 민주화 운동을 위한 저항 예술에서 빈번하게 나타났던 것이었다.
    신학철은 제 1회 민족미술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민중미술 작가로 작품 속의 거대한 남근 형상에서 보이듯이 남성중심적인 시각을 작품화한 작가이다. 한편 윤석남은 민중미술의 민족미술연합의 여성분과에서 활동했으나 점차 여성의 시각에서 본 여성상을 작품화한 작가이다. 신학철을 비롯한 당대의 민중미술가들과 윤석남의 작품에는 특정한 어머니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아이를 양육하는 어머니상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신학철의 어머니는 민족의 힘과 생명력과 연결되고, 윤석남의 어머니는 가부장제 속에서 고통 받는 여성의 삶과 관련된다.
    필자는 기존 연구의 큰 줄기에서 더 나아가 두 작가의 작품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민중미술의 테두리 속에서 신학철의 어머니상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 그것과 구분되는 윤석남의 어머니 상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신학철의 어머니상은 남성으로 호명되는 민족의 아들일 뿐 아니라 민주화 운동 가운데 산화한 젊은 청년들과 민주화 운동의 남성 지도자의 어머니였다. 그러한 어머니 상들은 그 어머니상은 민족의 아들을 돕는 민족의 힘의 근원으로 상정되며, 민주화운동 내에서 사망한 아들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어머니상은 아들을 순교자화하는 데 기여하고, 그의 동료들이 운동에 매진하도록 독려하는 데 기여한다.
    반면, 윤석남은 아들만의 어머니가 아니라 딸의 어머니이며, 어머니가 된 딸이 바라본 어머니를 재현했다. 필자는 윤석남의 알려지지 않은 중요한 작품들을 통해 시기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는 어머니상의 모습을 발견했다. 윤석남은 민족이란 거대 담론에 묻힌 여성 주체와 여성의 목소리를 되살려내었다. 그는 여성의 시각에서 모성신화의 허상을 이야기하고, 여성이자 어머니로서 겪는 슬픔과 그것을 극복하는 힘을 표현했다. 두 작가의 어머니상의 힘은 모두 아픔을 바탕으로 한다. 한쪽은 아들을 지키면서 겪는 고난 혹은 저항 운동 속에서 아들을 잃은 슬픔을 형상화했다면 또 다른 한쪽은 사회 체제 속에서 억압받는 어머니이자 여성으로서의 슬픔을 나타낸다. 두 작가는 어머니상을 통해 그러한 억압과 슬픔을 극복할 힘을 표현했는데, 신학철은 남성중심적인 시각에서 여성을 타자로 보는 시각을 반영했고, 윤석남은 그에서 벗어나 여성이 주체가 되는 여성상을 시각화했다.
    어머니상에 대한 시각 이미지의 재현은 이처럼 그것이 지배 이데올로기를 위한 것이건 저항 이데올로기를 위한 것이건 간에, 그리고 민족주의을 나타내는 것이건 혹은 여성주의를 고양하기 위한 것이건 간에, 시대사회의 이데올로기 변화에 부응하거나 위반하며 되풀이되어 왔다. 그리고 시각예술은 이미지의 힘으로 그것이 지지하는 이데올로기를 끊임없이 재생산해 왔다. 지금은 민중미술이 쇠퇴한 지 20여 년이 흘러 여성의 권익이 증대되었다고 말해지는 시기이다. 여성 대통령이 집권하는 이 시기의 모성 이데올로기의 재현에 대한 후속연구가 기대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studied the mother image reflected in the paintings and sculptures of Hak Cheol Shin and Seok Nahm Yoon, which were made during the Minjoong Misool Period from 1980 to 1994. In those days, mother or motherhood was frequently emphasized not only in the fine arts but also in the art of the resistance movement, such as Minjoong songs and signag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mocratic movement. Hak Cheol Shin is a representative artist of Minjoong Misool, who received the first Minjok Misool Award. He frequently reflected the dominance of male power in his work, as, for example in the huge penis shape in his pictures,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symbol of the man-centered viewpoint. Seok Nahm Yoon initially produced paintings from the feminine viewpoint, especially reflecting the flight of the poor. This is focus formed from her commitment to the division of women in the Minjok Missol Association of Minjoong Misool, but later, she depicted female images in her paintings from the feminist viewpoint. Minjoong artists like Shin and feminism artists like Yoon repeatedly presented the mother image in their paintings. Although the mother images in those paintings commonly depict mothers who raise the children, Shin's mother image is closely related to Minjok's power while that of Yoon is directly related to women's hardship within a man-oriented society. Therefore, in this paper, I compared this difference in the mother image between the two artists.
    By expanding the previous studies and analyzing the artists' works in detail, the meaning of Shin's mother image has been revisited in the realm of Minjoong Misool and Yoon's mother image has been reconsidered in comparison with Shin's. Shin's mother was the mother of men, such as Minjok's sons, young men who died in the democratic movement, and male leaders of the movement. Its image is the symbol of Minjok's power that helps Minjok's sons. Mourning images of the mothers whose sons died in the movement present their sons as martyrs and encouraged other sons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ovement.
    On the other hand, Yoon's mother was the mother of daughters and was presen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aughters who also became mothers. In this paper, Yoon's mother image that has evolved with time was discovered among her unknown but important paintings. Yoon empowered women and woman's voices that had been obscured the power discourse of Minjok. She criticized the illusion of motherhood myth from a woman's viewpoint and represented mothers' lamentation and their effort to emerge from repression.
    The mother image of both artists is based on the pain that mothers traditionally underwent. One is from the hardship of supporting their sons or the loss of their sons in the resistance movement. The other is from the sadness in being suppressed as woman and mother in the social system. However, the mother who overcame the pain has been represented differently. Shin and Yoon considered the mother as ‘other’ from the men-centered viewpoint and subjects from the feminism viewpoint, respectively. It is noted that both artists' works show the reappearance and evolution of motherhood ideology in a most dynamic period.
    Motherhood ideology has been continuously reappeared throughout history. It is almost 20 years since the Minjoong Misool declined, and woman power has increased respectively. Korea even has a female president. Therefore, as extension to this study, subsequent studies on motherhood ideology are likely appear and gain in importa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is paper consists in that this mother image, which is differently presented in the paintings of the same age, has been analyzed on the basis of a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and compared to the Minjoong and feminism viewpoints respectively, as emphasized by two leading artists, Shin and Yo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