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량적 문체론과 기법의 문학사: 한국 근대소설 속 ‘의식의 흐름’ 기법을 중심으로 (The quantitative stylistics and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echnique: the stream of consciousness in Korean modern novel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4
34P 미리보기
수량적 문체론과 기법의 문학사: 한국 근대소설 속 ‘의식의 흐름’ 기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4권 / 1호 / 73 ~ 106페이지
    · 저자명 : 권은

    초록

    본 연구는 20세기 초 등장한 서구의 ‘의식의 흐름’ 기법이 1930년대 한국에 수용되면서 발생한 한국 근대소설 텍스트의 변모 양상을 ‘멀리서 읽기’의 방법론을 활용해 살피고자 한다. 한국의 근대소설 속 ‘의식의 흐름’의 양상을 살피기 위해서 크게 두 가지 흐름에서 살필 필요가 있다. 하나는 비교문학사적 맥락에서 당대에 조이스의 ‘의식의 흐름’이 어떠한 방식으로 한국에 수용되었으며, 당시 작가들은 그 기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어떠한 특성들을 모방하고자 했는지 등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두 번째는 그러한 문학사적 맥락을 고려한 후에 그것을 기반으로 한국의 ‘의식의 흐름’ 기법이 활용된 예시들을 텍스트 마이닝으로 추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당시 일본이나 한국에서 조이스나 울프 등이 모더니즘 작가가 아니라 ‘신심리주의(新心理主義)’ 작가로 불렸다는 사실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930년대 초중반에는 한국 근대작가 중에서 ‘신심리주의’의 경향을 보이는 박태원, 이효석 등의 작가들이 있었다. 이태준은 박태원의 독특한 기법에 ‘장거리 문장’라는 이름을 붙였다. 문장의 길이가 유난히 길다는 의미였다. 그는 “심리고 사건이고 무어든 한번 이 문장에 걸리기만 하면 일사(一絲)를 가리지 못하고 적나하게 노출”된다고 평했다. 이러한 설명은 ‘의식의 흐름’과 상당히 흡사하다. 이러한 문장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이후에 식민지 조선에서 널리 유행을 했고, “구보의 문장이 이제 온전히 조선 문장의 한 문체”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본 연구는 1910년~1945년에 발표된 한국 근대소설 1,535편을 문장 단위로 환산하면 120만 개 정도가 된다. 이를 대상으로 LEN 함수와 TTR 지수 등을 통해 ‘의식의 흐름’ 기법의 문장을 찾고자 했다. LEN 함수는 문장의 길이를 구할 때 사용하는 함수이고, TTR 지수는 어휘의 다양도를 측정하는 지수이다.
    이를 토대로 한국 근대소설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의 영향을 받은 문장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동안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논의를 할 때 이상의 「날개」와 박태원의 「소설가의 구보씨의 일일」을 언급하는 것이 상식처럼 인식되어 왔다. 그렇지만 ‘의식의 흐름’ 기법을 중심으로 보면, 훨씬 더 다채로운 작가와 작품들이 논의의 대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상과 박태원이 한국에 ‘의식의 흐름’ 기법이 정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면, 이효석, 김남천, 채만식, 유항림, 안회남, 정인택 등의 작가들이 그 흐름을 이어갔고, 이광수, 현덕, 김정한 등도 일부 작품에서 비슷한 기법을 실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utilizes the methodology of 'distant reading'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modern fiction texts that occurred when the Western 'stream of consciousness' technique, which emer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adopted in Korea in the 1930s. In order to examine the aspects of 'stream of consciousness' in Korean modern fic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it from two main streams. The first is to look at how Joyce's 'stream of consciousness' was adopted in Korea in the context of comparative literary history, how writers at the time perceived the technique, and what characteristics they tried to emulate. The second is to consider the literary and historical context and then extract examples of Korean stream-of-consciousness techniques through text mining.
    It is also worth remembering that in Japan and Korea at the time, Joyce and Woolf were not considered modernist writers but 'neo-psychological' writers. In the early to mid-1930s, there were writers such as Park Tae-won and Lee Hyo-seok who showed a tendency toward neo-psychologism among Korean modernists. Lee Tae-joon gave Park Tae-won's unique technique the name "long sentence". He commented that "once you are caught in this sentence, no matter what it is, whether it's a judgment, an event, or a word, you are exposed to the last." This description refers to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his description is very similar to stream of consciousness. Such sentences became widely popular in colonial Korea after "The Daily Life of the Novelist Kubo," and "Kubo's sentences have now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Korean writing style.
    This study analyzed 1,535 modern Korean novels published between 1910 and 1945, which is about 1.2 million sentences. For this study, we used the LEN function and the TTR(type token ratios) to find sentences with the stream-of-consciousness technique. The LEN is a function used to find the length of a sentence, and the TTR is an index that measures the diversity of vocabulary.
    Based on this, we found the following sentences in Korean modern novels that were influenced by the stream-of-consciousness technique. It has been common knowledge that when discussing Korean modernism in the 1930s, it is common to mention Lee Sang's "Wings" and Park Tae-won's "The Daily Life of the Novelist Kubo." However, if we focus 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echnique, a much wider range of writers and works can be considered for discussion. If Lee Sang and Park Tae-won laid the groundwork for the stream-of-consciousness technique to take hold in Korea, artists such as Lee Hyo-seok, Kim Nam-chun, Chae Man-sik, Yoo Hang-rim, Ahn Hoi-nam, and Jung In-taek continued the trend, while Lee Kwang-soo, Hyun Deok, and Kim jeong-han experimented with similar techniques in some of their works. As Lee Tae-joon notes, after Park Tae-won experimented with "long sentences" in earnest, they gradually established themselves as "a stylistic feature of Korean 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