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드라마 속 젠더 담론의 변화- 홈드라마에서 트렌디 드라마로 전환되는 시점을 중심으로 - (Changing Trends of Gender Discourse in Japanese Dramas -Focused on the Change from Home Dramas to Trendy Drama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7.09
18P 미리보기
일본 드라마 속 젠더 담론의 변화- 홈드라마에서 트렌디 드라마로 전환되는 시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語文學 / 1권 / 74호 / 217 ~ 234페이지
    · 저자명 : 이윤주

    초록

    드라마는 특정 이데올로기를 재현하는 사회화 도구로서 기능하며 수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구현되어 내면화한다. 동시대 사람들 사이에서 암묵적으로 공유되는 젠더 담론은 드라마의 이야기 구조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며 사회적 의제로 만들어간다.
    홈드라마는 가부장적 질서를 존속시키는 메시지 전달공간으로 기능한 대표적 장르이다. 1970년대까지 홈드라마의 젠더 담론은 전업주부로서 그려진 여성의 역할과 공적 영역의 주체여야만 하는 남성의 역할에 대한 의문은 이루어지지 않은 채 획일화된 성별분업형 역할을 충실히 재현해 낸다.
    1980년대 후반 버블경제로 소비가 과열되는 가운데 홈드라마는 점차 감소하고 젊은 남녀의 연애와 일과 생활을 그린 트렌디 드라마가 급증하기 시작한다. 트렌디 드라마에서 표현하는 라이프스타일은 특히 현대 여성들에게 큰 공감대를 형성하며 삶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트렌디 드라마는 당시의 이데올로기를 가장 잘 반영하며 메시지를 전달한다.
    일상생활과 가장 닮아 있는 드라마라는 장르는 알게 모르게 우리 삶의 모델이자 규범이 되어버린다. 기존의 일본사회를 지탱했던 가족구조에 대한 의문, 규범적인 젠더 담론의 균열을 일으킨다. 여성들은 자신들의 어머니세대가 꿈꿨던 안온한 가정의 주체가 아닌 사회적 주체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진취적인 여성 캐릭터에 훨씬 더 공감하며 자신을 투영해 간다.

    영어초록

    Dramas serve as a tool for socialization representing certain ideologies and are visually implemented and internalized by their viewers or audiences. The gender discourses implicitly shared among contemporary people are naturally revealed in the narrative structures of dramas and turned into social agenda.
    Home dramas are part of a genre functioning as a space for delivering the messages sustaining the patriarchal order. Until the 1970s, the gender discourse in home dramas was focused on representing the uniform gender-specific roles without raising questions over the roles of males supposed to be the agents in the public domain as well as over those of females depicted as stay-at-home housewives.
    In the late 1980s, against the backdrop of overheated consumption in tandem with the bubble economy, home dramas declined whereas trendy dramas portraying young people’s love affair, work and life sharply increased. The lifestyle presented in trendy dramas won modern women’s empathy and impacted on the change of life to a great extent. Trendy dramas best described the ideologies and delivered messages of the time.
    As a genre akin to people’s everyday life, dramas knowingly and unknowingly prescribe some models and norms of our life. They question the conventional family structure underpinning the wider Japanese society, rupturing the normative gender discourse. Women choose to project and empathize with the images of progressive female characters exerting efforts to take the initiative in society instead of dreaming at home as the generation of their mothers used to 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語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