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왜란 속에서 작동한 전통적 공동체의 특징 - <선양정 진사일기>를 대상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that Worked During the Limjin War - targeting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2.04
27P 미리보기
임진왜란 속에서 작동한 전통적 공동체의 특징 - &lt;선양정 진사일기&gt;를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용봉인문논총 / 60호 / 145 ~ 171페이지
    · 저자명 : 신해진

    초록

    이 글은 현시대에 다양한 면모를 드러내고 있는 공동체를 이해하기 위해 전통사회에서 작동한 공동체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실기문학에 주목하였다. 이에, 정희맹의 <선양정 진사일기>를 대상으로 문집이 간행된 전후상황과 일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임진왜란 속에서 전통적 공동가 작동되는 양상과 그 특징을 고찰하였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선양정 진사일기>가 수록된 ≪선양정문집≫은 1875년 초간본으로 간행되었는데 그 이전에 <선양정 진사일기>의 일부분이 ≪수성록(守城錄)≫ 에 포함되어 1753년에 개간된 바 있다. ≪수성록≫ 개간에 참여한 이들은임진왜란 때 창의한 의병 55인의 후손이었다. 그 후기(後記)에 따라 선양정이 손수 쓴 일기를 근간으로 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선양정의 일기는 개인적 체험의 기록뿐만 아니라 동맹체가 작동되었음을 보여주는 기록임을 알 수 있다. <선양정 진사일기>는 영광에 있던 향교의 유림을 중심으로 한 의병의 모병 및 군량미의 조달 과정 등이 날짜별로 기술되어 있고, 이때 정희맹이 핵심적인 위치에 있었다.
    <선양정 진사일기>에 기록된 동맹체는 당시 영광군수가 공석인 상황에서 결속된 것으로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이들을 결속하게 한심층적 동인은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압해정씨와 혼인 관계로 맺어진 이가 55명 중 42명이나 되는 것을 통하여 그 요인이 바로 혼반 관계에 기반한 연결망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동맹체는 고을 수령의 부재로 인한 전쟁의 위험으로부터 자기 고장을 지키기 위해 한시적으로나마 작동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사례를 비추어볼 때 우리에게주어진 과제는 실기문학 속에 담긴 전통적 공동체의 자화상을 통해 우리가 속한 사회 상황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되짚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factual records literature(實記文學) to grasp the reality of communities worked in traditional society in order to understand communities that reveal various aspects in the present era. Accordingly,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collection of writings and the contents of the diary were analyzed for Jeong Hee-maeng(丁希 孟)’s <Seonyangjeong Jinsa Diary(善養亭 辰巳日記)>. In addition, during the Imjin War(壬辰倭亂), the traditional community was work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nd discussions were developed by presenting future tasks.
    The ≪Seonyangjeongmunjip≫, which contains the <Seonyangjeong Jinsa Diary>, was published in 1875 as a first edition, and before that, a part of the <Seonyangjeong Jinsa Diary> was included in the ≪Suseongrok(守城錄)≫ and was published in 1753.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Suseongrok≫ were descendants of 55 righteous army soldiers who were creative during the Imjin War.
    According to the postscript, it can be seen that Seonyangjeong's diary was based on a handwritten diary, and this shows that the alliance as well as personal experience records. <Seonyangjeong Jinsa Diary> describes the recruitment of righteous army soldiers and the procurement process of military rice centered on the Confucian scholars in Yeonggwang(靈光), and at this time, Jeong Hee-maeng was in a key position.
    The alliance recorded in the <Seonyangjeong Jinsa Diary> was united when the governor of Yeonggwang-gun(靈光郡) was vacant at the time, and it was identified where the in-depth driving force that united them in the special situation of war wa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2 out of 55 people had a marriage relationship(婚班) with Abhae Jeongssi(押海丁氏), indicating that the factor lies in the network based on the marriage relationship. This alliance is characterized by a temporary working to protect its own hometown from the danger of war due to the absence of the head of the town. In light of these cases, the task given to us i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ituation we belong to through self-portrait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contained in factual records literature and to look back in various perspectives and ways to solve the problems we f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용봉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