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포에서 해원으로 - 1980년대 전후 영화 속 무당 표상과 사회적 무당의 탄생 (From Object of Horror to Solacing the Spirits - Images of shamans featured in Korean films between mid-70s and mid-90s and emergence of social shaman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4.11
38P 미리보기
공포에서 해원으로 - 1980년대 전후 영화 속 무당 표상과 사회적 무당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5호 / 493 ~ 530페이지
    · 저자명 : 이영미

    초록

    이 글은 197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의 한국영화 속에 나타난 무당과 무굿의 표상이 어떠한지, 그것이 보여주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글이다. 이 시기에는 유달리 무당 인물의 비중이 매우 높은 영화가 밀집해 있다. 또한 1960년까지의 영화에서 무속신앙을 혹세무민하는 미신으로 그려내고, 시대의 변화와 함께 몰락하는 것이 당연한 존재로 그려왔던 관행을 벗어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어도>를 비롯하여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의 무당 소재 영화들은, 무당을 해당 공동체에서 막강한 권력을 가진 자로 그려냄으로써 이전 시대의 경향과 차별화되지만, 공포스럽고 그로테스크한 존재로 그려냈다는 점에서는 이전의 영화와 크게 다를 바 없다. 이는 1970년대 초에 연극에서 나타났던 전통문화의 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당시 현대연극으로의 수용에서 두드러진 오리엔탈리즘적인 접근 태도가 역력히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를 비롯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무당 소재 영화에서는, 무굿을 통한 역사적 해원의 형상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이 경향은, 1980년대에 들어서서 마당극운동으로 대표되는 진보적 예술운동이 급격히 성장하고, 광주항쟁을 비롯한 진보적 운동 과정에서의 잦은 죽음을 경험하면서 추모제나 장례식 등에서 무굿 방식의 연희가 자주 이루어져왔던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 영화에서의 무당은 친근하고 처연하며, 산 자와 죽은 자의 고통을 재현함으로써 위로를 주는 존재로 그려져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shamans and their rituals were represented in Korean films between mid-70s and mid-90s and what were their significances. During this period, shamans were strongly featured in Korean films more than ever. What is noticeable is that until the 1960s, Korean films portrayed Shamanism as a superstition which deluded the world and deceived the people, and ruled out it would decline with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Korean films featuring shamans from late-70s to mid-80s such as <Leodo(1977)> showed changes from their predecessors, portraying shamans as a person wielding an ultimate power in their respective community. However, they were still portrayed as fearful and grotesque beings and stayed almost the same. Such trend might be brought by the local theatre scene which embraced traditional arts forms during the early 70s as it accepted Orientalism wholeheartedly while adopting contemporary European theatre practices.
    Meanwhile, in local films featuring shamans from the late 80s and to mid-90s such as <A Wanderer Never Stops On The Road(1987)>, shaman rituals solaced the vindictive spirits who were sacrificed during national tragedies for the first time. This trend could be related to the fact that progressive art movement led by Madang Theatre grew fast in the early 80s and progressive social movement touched-off by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itnessed numerous deaths and as a result, shaman rituals were performed frequently during memorial ceremonies and funeral services. In these films, shamans were familiar and sorrowful beings and portrayed as a comforter who represented pains of the living and the dead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