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한 나라에서 온 소녀:영화 <마녀>와 <한나(Hanna)> 속 소녀 캐릭터의 특성 연구 (The Girls in Wonderland:Study on Female Adolescence in Films and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12
23P 미리보기
이상한 나라에서 온 소녀:영화 &lt;마녀&gt;와 &lt;한나(Hanna)&gt; 속 소녀 캐릭터의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70호 / 77 ~ 99페이지
    · 저자명 : 최민아

    초록

    본 연구는 브레이도티가 여성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들을 위해 제시한 ‘어머니/괴물/기계’의 개념을 차용하여 조 라이트 감독의 <한나>와 박정훈 감독의 <마녀>에 등장하는 소녀 캐릭터를 분석한다. 두 영화 속에서 과학기술에 의한 두 소녀의 탄생은 출산의 영역을 과학이 장악하면서 어머니의 존재는 부재하고, 고립된 소녀들은 가부장적이고, 남성위주의 합리적인 질서가 강요되는 세계 속으로 뛰어드는 현실을 보여준다. 괴물이 가진 상징성이 다름에서 오는 이질성을 의미하듯이 소녀들 역시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을 가진 가늠할 수 없는 존재, ‘타자’라는 낙인이 찍혀 억압당하고, 배척당하는 존재로 규정지어지게 된다. 여성이라는 구체적 정체성을 가진 괴물로서 소녀들의 탁월한 능력 역시 소녀들을 위협적인 타자로 규정짓게 만들어 기존 논리들과 사회 체제를 보다 단단히 구축하고 존속하기 위해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대상이 되고 만다.
    ‘과학적 합리성’을 규범적 범주로 규정할 때 과학적 효용의 측면을 위해 만들어진 소녀들의 향상, 증강된 능력은 합리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하지만 그 능력이라는 것이 기득권이 감당할 수 없는 과도한 것이 되는 순간,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녀들은 배제되고 만다. 영화 속에서는 포스트휴먼인 소녀들의 이미지는 보호받아야 할 존재이면서 동시에 괴력을 가지고 있는 이중성과 함께 과학의 영역을 몸에 소유하며 이상화 혹은 대상화되어 드러난다. 남성도, 어른도 아닌 ‘이중적 타자’로서 소녀 캐릭터는 관객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과학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남성중심 사회의 허구와 악들을 드러내며 전복을 꾀하는 창조적 파괴성과 변화의 역동성을 표현하려 한다. 아울러 그녀들이 가진 젊음과 능력은 가능성과 잠재력에 등가물로 미래에 대한 희망과 함께 지금의 현실이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중요한 지점에 있음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결국 관객이 마지막으로 주목하게 되는 것은 그녀들의 이야기와 목소리가 아니라 소진되어 가는 소녀의 이미지에 담긴 괴물적 능력, 그리고 그 놀라운 능력을 만들어낸 과학의 우월함이며 나아가 굳건한 가부장적 체제 속에서 위태로운 그들의 미래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Rosi Braidotti's view, which is that these words 'mother, monster, machine' are closely related and directed to feminist theories and cultural phenomenon, the emergence of powerful feminine adolescence in the films, <Maneyo> and <Hanna> could be explained with three words in this paper. These films that have a girl killer as a leading role, have similarities in their plots. These girls in the films are born by advanced science such as gene manipulation and constantly confront enemies who try to kill them. The girls' birth without mothers illustrate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an control woman's body as well as mother's role. The absence of mother and the substitute of mother trying to kill girls mean male patriarchal society's attempt to tame them. During the enemies' attack and the girls' resistance, the girls have processes of developing as themselves. Finally, their enormous power and uniqueness are revealed the world and instantly the girls are considered as a monster. Although the girls are not a man nor an adult, they became a threat to the male-society.
    The girls' power created by science and their immature images are shown as a marker of malleable identity at the same time potentiality for the future. Even though the images of feminine adolescence are consumed in the popular culture,the emergence of a powerful and strong girl in films means the crucial markers of cultural and social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