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로서의 한국무속 -무속 담론에서 ‘무교’ 개념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Korean Shamanism as Religion: The Development of ‘Mugyo’ in Shamanism Discours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종교로서의 한국무속 -무속 담론에서 ‘무교’ 개념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연구 / 78권 / 3호 / 183 ~ 211페이지
    · 저자명 : 신자토 요시노부

    초록

    한국의 근현대사에서 무속의 역사를 이해하려 할 때 그 종교적 측면에대한 시각의 변화를 살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본고에서는 무속의종교적 측면에 대한 논의로서 무속을 ‘미신’이나 ‘문화’가 아닌 ‘종교’로서보았던 주체들의 담론에 주목하고자 한다. 무속의 종교적 측면에 대한 시각이 사회적으로 공유되기 시작한 시기는 1960년대였으며, 70년대 및 80년대를 통하여 무속이 종교인지 아닌지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은 주로 ‘무교’(巫敎)라는 개념으로 표명되었기에, 무교 개념의 발자취를 통하여 종교로서의 무속 인식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의 일단을 부각시키려 한다.
    무속을 종교로 보는 시각의 출발점은 학계 일부에서 무속을 한국종교의뿌리로 인식하였던 1960년대의 상황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무교’ 개념의 역사를 추적해 볼 때, 무속이 고대 이래로 삼교(三敎)를 수용하는 뿌리로서 기능하였다는 점에 대한 평가로부터 출발하여, 그 변형으로 취급되는 현재의무속에 대해서도 종교로서 포섭하는 일부의 시각이 부각된다.
    무속의 종교적 측면에 주목할 필요를 강조한 주체의 대부분은 신학이었다. 토착화신학이나 민중신학은 무속을 종교로서 배제 및 포섭하는 논리를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출현한 것이 ‘종교 아닌 종교’로서의 무속 인식이었다. 다만 이러한 시각은 신학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류학, 교육학, 정신의학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에 의해 사회적으로 공유되었다. 이와 같이 무속의종교적 측면에 대한 시각이 기독교를 모델로 한 ‘종교’ 개념에 얽매여 있었다는 점은 강조해 둘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들의 시각은 기존 ‘종교’ 개념의 한계 내에서 무속의 종교적 측면을 평가하고 서술하려 했던 담론들이라는 점에서 그들의 전략이 가지는 효과와 의미를 찾는 작업은 가치가 있을것이다.

    영어초록

    When assessing the history of Shamanism in modern Korea,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fferent ways religious aspects of Shamanism have been perceived. In this paper, we focus on discourses which regard Shamanism as a ‘religion,’ not as ‘superstition’ or ‘culture’. In the 1960s, discussions on the religious aspects of Shamanism first emerged. Later, in the 1970s and 1980s, these discussions engendered a compelling question: whether Shamanism should be regarded as a religion. Those who advocated this idea coined and utilized the concept of ‘mugyo’ (巫敎). In this article, I highlight the way the evolution of the ‘mugyo’ concept shaped and influenced the viewpoint that Shamanism should be considered a religion.
    In the 1960s, those in academic circles that viewed Shamanism as the root of Korean religion initiated discourse on this topic, with a certain emphasis on the concept of ‘mugyo’. ‘Mugyo’ arose while re-evaluating the function of Shamanism as the basis for accepting ‘Samgyo (Confucianism / Buddhism / Taoism)’ in Korean religious history. From this perspective, modern Shamanism is a variation of ‘mugyo.’ Theology also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on Shamanism as religion. Theologies, such as the theology of indigenization and minjung theology, gave arguments on both sides of the debate. While theologians recognized that there were grounds for treating Shamanism as a religion, they nevertheless insisted that it lacked the theoretical basis to be fully considered as such. Theology was hardly the only discipline to hold this viewpoint—it was a position shared by scholars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anthropology, education, and psychiatry. Discussions on the religious nature of Shamanism were also inextricably tied to the Christian idea of religion. The attempts of these theologians are notable for the ways they prompted a re-evaluation of the religious nature of Sham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