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왜란 이후 ‘敎化’의 양상 -광해군대 『東國新續三綱行實圖』를 중심으로- (Aspect of Indoctrination in Choson Dynasty After end of Toyotomi Hideyoshi's Invasion -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Kwan)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0.04
59P 미리보기
임진왜란 이후 ‘敎化’의 양상 -광해군대 『東國新續三綱行實圖』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4호 / 67 ~ 125페이지
    · 저자명 : 정일영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광해군대에 간행된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내용이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여, 임진왜란 이후 조선사회의 변화를 다른 각도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東國新續三綱行實圖』는 이전 시대에 간행되었던 행실도와 마찬가지로, 일반 백성들을 교화시키기 위해 간행되었다. 하지만 『東國新續三綱行實圖』는 사례의 수가 다른 행실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고, 그 내용 또한 이전 행실도와는 차이를 보였다.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간행 시기는 仁穆大妃의 폐모논쟁이 시작됐던 시기와 일치한다. 폐모를 반대했던 세력들은 왕 또한 지켜야할 가치로서 孝를 앞세웠고, 폐모를 주장했던 이들은 왕의 신하로서 지켜야 할 忠을 근거로 폐모를 주장했다. 이 정황이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수록된 계모에 대한 효행 사례를 다른 행실도의 것과 비교하거나, 忠의 실행 방법을 비교해보면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또 행실도 수록 과정에서 孝와 忠을 구분하던 모습들 속에서도 간행 당시의 정황이 행실도 내용에 미친 영향을 찾아낼 수 있다. 『東國新續三綱行實圖』는 각자 직분에 맞는 忠을 요구했는데, 그것은 결국 신하들에 대한 압박이자 ‘요구할 수 있는’ 忠의 강조였다. 이는 충신도의 사례들을 살펴보면 더욱 명확해진다.
    뿐만 아니라 『東國新續三綱行實圖』가 해석하고 강조한 孝, 忠, 烈도 다른 행실도와 미묘한 차이를 드러낸다. 『東國新續三綱行實圖』가 강조했던 烈은 외부의 남성(왜적)이 정절을 위협할 때 목숨을 버려가며 저항하는 ‘수절’이었다. 이는 사례의 진실성과는 관계없이, 편찬자 남성들의 기대 및 의도가 투영됐다고 봐야할 것이다. 효자도에는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이 수록되긴 하였으나, 천민·평민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그들의 사례가 극단적인 것(斷指 혹은 割股)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신분이 낮은 이가 효자도에 이름을 올리기 위해서는 양반 계층의 인물에 비해 더 극단적인 효행을 해야만 했던 것이다. 그리고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서 강조한 忠은 다른 어느 행실도보다도 희생을 강조하는 충이었다. 이것은 간행 당시의 정황과 무관하지 않다.
    이렇게 『東國新續三綱行實圖』를 다른 행실도와 비교할 때, 몇 가지 특징 및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東國新續三綱行實圖』는 東國人만을 등장시켰고, 그 등장인물의 수도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행실도의 등장인물은 매우 다양하지만, 행실의 유형은 단조로운 편이고 그 단조로움은 신분 및 성별과 관계가 깊었다. 사실 이 특징은 조선 사회가 강조해온 가치와 크게 어긋나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東國新續三綱行實圖』는 광해군의 폐위와 함께 많은 비난을 받았다. 반정에 대한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해 광해군은 비난을 받아야만 했고, 이 비난은 결국 조선 사회 전반의 경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내용과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대한 후대의 평가, 그리고 정조대에 간행된 『五倫行實圖』의 복고적 성격을 볼 때 더욱 명확해진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Choson Dynasty after Toyotomi Hideyoshi's Invasion(壬辰倭亂) from another angle by analyzing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book for confucian indoctrination)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Kwanghae(光海君).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was published to enlighten the common people like other Haengsil-do(行實圖)s which was published during other king's reign. However there were so many cases which were different contents from other Haengsil-dos.
    When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was published, there were a sharp conflict about deposing Queen Dowager, Inmok(仁穆大妃). The opposition party advocated filial piety as King's duty. In the other hand, the assent party advocated loyalty as subject's duty. This conflict had an effect on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Some differences are reveled in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by comparing some cases of filial piety for a stepmother or ways to practice loyalty for king in other Haengsil-dos. And some effects by the political situation can be found in the dispute on demarcation of filial piety and loyalty.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demanded loyalty of one's duty, it oppressed the subject and emphasized loyalty as not an autonomous action but only duty. It is clearer by looking into cases of a loyal subject.
    And besides, filial piety, women's chastity and loyalty which were emphasized by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were different with other Haengsil-dos'. The women's chastity which was emphasized in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was determined resistance in desperation against exterior men, the Japanese invaders(倭賊). Regardless of reality, these cases were made or praise highly by men editors who had some expectation for women's chastity despite of war. There were so multifarious classes in cases of filial piety, but the common people and the humble's cases resort to the extremity, for example, cutting off their finger or thigh(斷指·割股). That is to say, the common and the humble should do more dangerous filial piety to be the dutiful son(孝子). And loyalty which was emphasized by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was the most self-giving one than other Haengsil-dos. It was relevant to the above-stated circumstances.
    So it can be found som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comparing with other Haengsil -dos. Especially, in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 do, there were only Korean(東國人), and the number of cases were peerless. There were so various classes, but the cases were monotonous by classes or gender. In fact, this tendency was general in Chosun Dynasty.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however, was condemned after dethronement of King Kwanghae(仁祖反正). The condemnation was natural result because of justify dethronement of King Kwanghae, the condemnation affected stiffness of Chosun Dynasty. It can be clearer looking into the contents of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after ages' valuation for the Dongguk Sinsok Samkang Haengsil-do, and the reactionary tendency of the Oryun Haengsil-do(五倫行實圖)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