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브라 이브라힘 자브라의 작품 속에 나타난 자전적 요소 연구 (Autobiographical elements in the work of Jabra Ibrahim Jabr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7.08
28P 미리보기
자브라 이브라힘 자브라의 작품 속에 나타난 자전적 요소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랍어와 아랍문학 / 21권 / 3호 / 71 ~ 98페이지
    · 저자명 : 하주형

    초록

    본 연구의 논제는 작가 자브라 이브라힘 자브라의 자서전에 관한 것이다.
    자브라는 1920년 생으로 팔레스타인에서 태어났지만 이스라엘의 점령을 피해 이라크로 이주한 작가이다.
    미국 인디아나 대학에서는 자브라 이브라힘 자브라의 작품 기법들을 중심으로 한 박사논문이 있을 큼 학문적 가치가 높은 작가로, 아랍작가연맹은 2010년 최고의 아랍소설 10위안에 자브라의 소설 『배』를 올려 놓았을 만큼 인지도가 큰 작가이다.
    그러나 그는 1960년대 아랍소설의 큰 흐름이었던 민족문학의 흐름을 따라가기 보다는 민중과는 약간의 거리를 둔 색채를 가지고 있다. 또 그는 그 당시 '신시'의 확산에 힘쓰기도 헀다.
    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을 모티프로 하고 있어서 유일신 사상의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들에게는 다소 혁신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연구하고자 한다.
    하나는 자서전과 작품의 유사성을 통한 소설 속 자전적 요소들에 관한 것이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자브라의 자서전이 아랍문단의 흐름에 역행하는 자신의 문학적 성향을 진솔하게 고백한 점이 있는가 하는 점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자브라의 작품들과 자서전의 비교를 통해서 자브라의 문학적 색채 전반에 영향을 끼쳤으리라 추측되는 자서전 속 요소들에 대한 유사성을 밝히는 것이다.
    먼저, 자브라의 생애와 작품 속 내용들의 유사성에 토대를 둔 연구에서는 우물발견과 갈증해소, 동굴 속에서 메시아를 기다림, 부활절 달걀 깨뜨리기, 전화기에 대한 환상, 선과 악의 관념,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 무능한 지식인, 중산층에서 하층민으로의 추락으로 세분화하였고 이를 자서전에 내용과 소설작품에서 구현된 내용을 서로 비교하여 살펴 보았다.
    결국, 자브라가 성장하면서 보고 듣고 느꼈던 것들 중, 잊을 수 없는 체험과 사건들은 잠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을 통하여 재해석되고 있었다.
    두 번째 작가의 성향과 관련하여 자서전의 자기 방어의 기제가 되었을까하는 점에서는, 자브라의 '참여 문학'적 성향으로의 선회가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간에 그는 참여적 성향의 민족문학에 대해서는 능동적으로 반응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자브라 자신이 팔레스타인에 태어나지 않았다면 이러한 정치적, 사회적 현실에 얽매이지 않고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으리라 추측된다. 결국 작가 자신도 시대적 환경의 희생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브라 소설의 주된 사건들, 잠적, 자살, 절망 등에서 느껴지는 암울한 분위기는 자서전 속에서는 찾을 수가 없었다.
    즉 전쟁을 겪으며 보았을 죽음, 폭격으로 폐허가 되어버린 조국 등의 암울한 분위기가 소설에서는 그려지고 있지만 자서전 속에서는 나타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밝은 분위기로 서술되고 있다.
    이 점에서 제기되는 논제가 바로 '자서전의 허구성'이다. 자브라는 자서전을 쓰면서 당대의 현실을 외면하고 철저하게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 것만을 기억하여 자서전에 담아내고 있었다.
    왜 제목을 『첫 번째 샘물』로 했을까? 하는 의문에서, 자브라가 이나라 저나라를 떠돌아 다니는 이방인으로서의 비애를 토로하였던 글을 통해 답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결국 여기저기 떠돌아 다니는 비극적인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갈망하게 되는 심리적인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물 한모금, 즉 '샘물'은 고향인 팔레스타인에 살았던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한 회고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억과 추억들은 떠돌이 신세인 자브라가 느끼는 애타는 갈증을 해소하게끔 하는 물 한 모금이 되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autobiography of Jabra Ibrahim Jabra. he was born in Palestine in 1920 but moved to Iraq to avoid the occupation of Israel. he does not follow the flow of national literature, which was a big stream of arab novels in the 1960s, He has a little distance from this stream. he also tried to spread the 'New Poetry' at that time. this is somewhat innovative for Muslims as they are motifs in Greek mythology. therefore, his works was somewhat progressive. he might argue and defend himself through his autobiography.
    In this paper, I will treat about autobiographical elements through the similarity of autobiography and his works. by the comparison of Jabra's works "Hunters in a Narrow Street(1960)", "The Ship(1970)", " In Search of Walid Masoud (1978)" and his autobiography "The First Well(1987)". It is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contents of the work and the life of Jabra by comparing the contents the works with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