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한문학 속의 동방삭 담론 : 선비의 복잡한 내면, 인간의 평범한 감정 (On the Interpretation of Dongfang Shuo in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Classic - On His Inward Complexity as A Scholar and Ordinary Feelings as A "Huma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2.09
31P 미리보기
한국 한문학 속의 동방삭 담론 : 선비의 복잡한 내면, 인간의 평범한 감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88호 / 81 ~ 111페이지
    · 저자명 : 田娟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인물인 동방삭이 한국 한문학 텍스트 속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또 어떻게 담론화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에서의 동방삭 관련 텍스트 수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동방삭은 인간과 비인간,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중의 모습과 복잡한 성격을 가진 존재이다. 『사기』‧『한서』 등 공식 담론과 동방삭의 저술, 그리고 동방삭이 작중 인물로 등장하는 문학 작품들 등 그를 매개로 한 텍스트들이 한국으로 많이 유입되고, 또 광범위하게 읽히면서 이러한 이미지를 형성‧전파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또한 이 텍스트들이 한국 문인들이 동방삭을 해석, 재구하는 밑바탕이 되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골계’, ‘조은’, ‘투도’의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한국 한문학에서 동방삭을 부각시킨 양상, 그리고 이를 통해 표출된 작가 의식과 내면 감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골계’와 ‘조은’ 관련 담론은 주로 역사적 실존 인물인 동방삭에 대한 주목과 해석으로, ‘士’ 집단의 정체성과 생존전략 문제로 귀결할 수 있다. ‘골계’ 해석의 초점은 ‘俳優化’한 지식인을 어떻게 인식했는지가 핵심이며, ‘조은’에 대한 해석에는 선비의 ‘진’과 ‘퇴’, 공적 책임과 개인 생존에 관한 고민과 선택이 담겨 있다. 한편, 한문학 속의 ‘투도’, 즉 삼천 년의 수명을 누릴 수 있는 서왕모의 복숭아를 동방삭이 세 번이나 훔쳐 먹었다는 이야기와 관련한 담론은 주로 인간으로서의 평범하고 보편적인 경험‧감정‧욕망에 대해 쓰고 있으며, ‘장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구비설화와 비교할 때 훨씬 더 풍부하고 다양한 활용 양상을 보였다.

    영어초록

    Dongfang Shuo is a legendary figure that is both real and illusory. His deeds and works were spread eastward to the Korean Peninsula as far back as during the Silla period. So far, the story of " Dongfang Shuo had lived a long life of 3,000 years" continues to be well known to the Korean people. The paper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Dongfang Shuo in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classics. It makes it clear at the beginning that texts related to Dongfang Shuo are spread far and wide with an extensive audience in Korea, followed by a specific investigation with three keywords including "funny", "self-effacing courtier" and "stealing peaches of immortality in Chinese mythology".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two keywords is closely related to the identity and survival strategy of the scholar group which upholds Confucianism and is committed to social progress. The interpretation of "funny" mainly focuses on the judgment of pantomime-related intellectuals; that of the "self-effacing courtier" reflects the deliberation on "elevated to a higher position" and "reclusion" of scholars and the rationalization of their own way of life;while that of "stealing peaches of immortality in Chinese mythology" expresses a person's daily life, desires and feel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