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포감정 모방을 위한 적응도구로써 공포영화 속 캐릭터의 연구 (A study of characters in horror movies as an adaptation tool for imitation of fear emotio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2.12
29P 미리보기
공포감정 모방을 위한 적응도구로써 공포영화 속 캐릭터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69호 / 243 ~ 271페이지
    · 저자명 : 김대우

    초록

    공포영화 속에서 공포대상으로 등장하는 캐릭터는 단순히 재미와 놀람을 유도하기 위해 창조되었을까. 진화심리학에서는 인간이 진화과정에서 도구와 문명을 개발하게 된 이유는 생존과 생식에 필요하기 때문에 만들어졌고, 캐릭터 또한 생존을 위해 만들어졌다고 보고 있다. 포식자에 대한 공포, 질병에 대한 공포 같은 보편적 공포감정이 존재해왔고 이 같은 공포감정이 발달된 개체가 생존에 유리했고 다음 세대로 이어갈 수 있었다. 신경심리학자 다마지오는 감정과 느낌이 합리적 판단과 미래예측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피니어스 게이지 같은 뇌손상 환자를 연구하면서 알아냈다. 이 두 배경이론을 바탕으로 변화된 환경에 적합한 공포감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중세시대의 집단사회 속에 숨어있는 기만적 살인자에 대한 공포대상으로 늑대인간, 전기과학과 기계기술에 대한 공포대상으로 근대시대의 프랑켄슈타인 괴물, 괴력과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기술이 창조자인 인간을 살해할지 모른다는 공포감정이 구체화 된 터미네이터,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유전공학기술이 인간을 좀비로 만들지 모른다는 공포감을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해보았다. 결론적으로 각 시대적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공포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구체적 공포대상을 만들어왔고, 다른 동료 개체들에게 공포감정을 모방할 수 있도록 문화 도구인 영화와 캐릭터를 적극 활용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Were the characters that appear as horror objects in horror movies created simply to induce fun and surprise? Evolutionary psychology believes that the reason humans developed tools and civilizations in the course of evolution is that they are necessary for survival and reproduction, so characters are also created for survival. Universal fear emotions such as fear of predators and fear of disease have existed, and individuals who have developed such fears have an advantage in survival and can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Neuropsychologist Damasio discovered that emotions and feelings greatly influence rational judgment and future prediction while studying brain-damaged patients such as Phineas Gage. Based on these two background theories,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a fear emotion appropriate to the changed environment.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 is a werewolf as a fear object of a deceptive murderer hidden in the collective society of the Middle Ages. The modern Ages Frankenstein monster is a feared object of electrical science and mechanical technology. Terminator embodies the fear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th superpowers and intelligence might kill the creator, the human being. Fear of disease and fear that genetic engineering may turn human individuals into zombies. Four character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In conclusion, in order to adapt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each era, we have created specific fear objects that can arouse fear. It can be seen that movies and characters, which are cultural tools, have been actively used to imitate fear to other fellow individ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