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역동 관점에서 본 ‘돌봄 구조 속 주체의 자기애 욕구 충족 심리’ 연구 (A Study on ‘the Psychology of Satisfying the Subject’s Need for Narcissism within the Care Structure’ from a Psycho-dynamic Perspectiv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4.09
27P 미리보기
정신역동 관점에서 본 ‘돌봄 구조 속 주체의 자기애 욕구 충족 심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91호 / 245 ~ 271페이지
    · 저자명 : 고유식

    초록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누군가의 돌봄을 받고, 성장 후에는 역으로 타인을 돌보게 된다. 즉 인간이라면 누구나 전 생애에 걸쳐 돌봄을 필연적으로 경험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돌봄 구조는 불가피하게 돌봄을 제공하는 주체와 돌봄을 받는 객체로 이분화된다. 돌봄 구조 안에는 주체와 객체의 양극성 소망, 즉 돌봄 주체의 소망과 돌봄 객체의 소망이 공존한다. 이처럼 돌봄은 주체와 객체의 서로 다른 욕구와 욕망, 그리고 요구가 함께 모여 있는 심리적 콤플렉스 집합소다. 돌봄 구조 속에서 주체는 객체 돌봄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는 동시에 돌봄 결과와 객체에 대한 의무 및 책임을 강하게 경험한다. 반면, 퇴행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상황에 놓인 객체는 주체에게 의지하며 자기 삶에 대한 책임과 의무에서 자유로워지기 원한다. 이 때 주체는 자기희생을 자의 및 타의에 의해 강요받으며, 객체는 주체의 희생을 통해 위로와 지지 등의 이익을 얻는 일방적 구조가 확립된다. 이로 인해 주체는 돌봄 관계 안에서 자신이 억압당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동시에 그의 욕구 또한 억압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주체는 스스로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욕구를 억제해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사로잡히게 되며, 결국 이로 인해 돌봄에 대해 부정적 관념을 갖게 된다. 즉, 객체는 주체의 돌봄 행위를 통해 욕구 충족과 쾌락을 경험하는 반면, 주체는 ‘객체를 위한 희생양이자 헌신자’라는 이미지에 스스로를 가두고 돌봄과 객체에 대해 큰 부담을 느끼게 된다. 이 상황에서 주체는 객체를 향한 돌봄 의지를 강하게 갖고 이를 실천하면 할수록 자신의 욕구가 더 강하게 억압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로 인해 주체는 열등감과 좌절감, 그리고 죄책감 등 다양한 부정 감정을 더 강하게 느끼게 된다. 결국 주체는 돌봄에 대한 양가 갈등, 즉 객체를 돌봐야 하지만 자기 욕구의 충족 욕망으로 인해 객체를 돌보고 싶지 않다는 상반된 감정을 동시에 경험하며 심각한 갈등 상황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주체는 이러한 부정 감정을 경험하면서도 객체를 향한 돌봄을 멈추지 않는다. 이는 돌봄 주체로서 책임감 때문일 수도 있지만, 더 깊이 들여다보면 돌봄 중단으로 인해 느끼게 될 죄책감 회피를 위함일 수도 있다. 또한 주체가 돌봄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게 어떤 이익을 얻고 있기 때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래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갖게 되었다. ‘모든 인간은 자아 본능에 따라 자신이 진정 원하는 방향으로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는데, 돌봄에 부정적인 주체가 이를 지속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주체는 왜 돌봄 중단 없이 계속 객체를 돌보려 하는가?’ 연구자는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고자 정신 역동 차원에서 주체의 심리와, 돌봄 구성의 핵심 요소로서 인간 욕구의 본질인 자기애 충족 욕망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이 연구가 돌봄 과정 및 결과에서 발생된 부정 감정으로 인해 고통을 경험하는 모든 돌봄 주체들에게 돌봄의 의미와 가치를 다시금 환기시키고, 돌봄이 그들의 건강한 욕구 분출구가 되어 만족을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래서 이를 토대로 돌봄 주체들이 보다 만족스럽고 균형 잡힌 삶을 설계하고 돌봄의 삶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All people inevitably experience care-giving throughout their entire lives. From the moment we are born, we survive by receiving care from others, and as we mature, we assume the role of care-giver in return. In this process, the structure of care-giving becomes inevitably dichotomized into the care-giver as the subject and the care recipient as the object. Within this care-giving structure, there exists a dual desir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namely, the subject’s desire to provide care and the object’s desire to receive care. Thus, care-giving is not merely an action but rather a psychological complex, a convergence of the differing needs, desires, and demands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Within the care-giving structure, the subject holds a strong will to care for the object, while simultaneously experiencing an intense sense of duty and responsibility toward the outcomes of care-giving and toward the object itself. Conversely, the object, who finds themselves in a situation requiring care due to regression, desires to rely on the subject and seeks freedom from th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of their own life. In such a scenario, the subject is compelled, both voluntarily and involuntarily, to engage in self-sacrifice, while the object benefits from this sacrifice by gaining comfort and support within an unbalanced structure. Consequently, the subject begins to feel oppressed within the care-giving relationship, reflecting the repression of their own needs. The subject becomes unconsciously or consciously driven by an obsession to suppress their desires, ultimatel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negative perceptions toward care-giving. In this dynamic, while the object experiences the fulfillment of desires and pleasure through the subject’s care-giving actions, the subject confines themselves within the image of being a 'sacrificial lamb and devoted servant' for the object, feeling a profound burden toward care-giving and the object. The more the subject is committed to the act of care-giving, the more they recognize that their own desires are being increasingly suppressed. This realization exacerbates feelings of inferiority, frustration, and guilt, leading to stronger negative emotions. As a result, the subject experiences ambivalent conflicts—simultaneously feeling the need to care for the object while also desiring not to care due to their own unfulfilled desires—creating a profound internal conflict. Ironically, despite these negative emotions, the subject does not cease to care for the object. This may be driven by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care-giver, but upon deeper examination, it may also be an attempt to avoid the guilt that would arise from halting care-giving. Moreover, it is possible that the subject unconsciously derives certain benefits from the care-giving process itself. Consequently, I am led to ponder the following questions: "If all humans make decisions based on their true desires according to their inherent instincts, why do I, as a subject who harbors negative feelings toward care-giving, persist in it?", "Why do I continue to care for the object rather than ceasing to do so?" I aim to address these questions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y psychology as the subject and the desire for narcissistic fulfillment, which is a fundamental element of human needs, from a psycho-dynamic perspective. Through this research, I aspire to rekindl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care-giving for myself and for all care-givers who suffer from the negative emotions generated during the care-giving process and outcomes. I hope that care-giving can become a healthy outlet for my desires, allowing me to experience satisfaction. Ultimately, I envision that this will help me, along with other care-givers, design more fulfilling and balanced lives, enabling us to lead lives enriched by care-gi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