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儀軌 속에 나타난 전통연희 - 궁중정재의 춤 종목을 중심으로 - (Traditional Court Banquets as Described in Records-With the focus on dance in court ensemble performanc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09.06
30P 미리보기
儀軌 속에 나타난 전통연희 - 궁중정재의 춤 종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18호 / 231 ~ 260페이지
    · 저자명 : 정현정

    초록

    의궤(儀軌)란 의례(儀禮)의 궤범(軌範)이 되는 책을 말한다. 조선시대 국가의 의례는 오례(五禮)에 근거하여 열렸는데, 의례가 끝난 후 세부항목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정리해 놓은 것이다. 조선시대 왕실과 관련된 연향은 풍정(豊呈)ㆍ진연(進宴)ㆍ진찬(進饌)ㆍ진작(進爵)으로 분류된다. 왕실연향 후에는 의식을 자세하게 기록한 의궤를 편찬하였고,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어 조선시대 궁중연향을 살펴보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본고는 왕실연향 중 정재(呈才)에 한해서만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정재의 경향과 선호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궤는 인조 8년(1630)에 편찬된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이다. 이전 시기의 의궤들은 전란으로 모두 소실되어 현재 남아 있지 않으므로 조선 건국부터 인조8년 이전 시기의 정재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기사에서 살펴보았다. 시기의 구분은 정재의 변화가 일어나는 순조 대와 고종 대를 기준으로 하여 1기는 의궤 소실 이전의 시기, 2기는 인조~정조, 3기는 순조~헌종, 4기는 고종~대한제국으로 하였다.
    조선시대의 정재는 목적에 따라 창제되기도 하고 연희가 중단되기도 하였으며, 고려시대부터 전해져 온 정재들이 계속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왕명에 따라 악장이 창제되고 정재로 변화하는 발전을 거쳤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목적성이 상실되면 더 이상 연희되지 않았다. 포구락(抛毬樂)과 연화대(蓮花臺) 같은 정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전승되고 있어 생명력을 가지고 발전해 온 종목이기도 하다.
    전승과 창제, 변형과 발전, 유입과 전파, 연희시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온 정재는 궁중연향을 더욱 화려하고 성대하게 만드는 요소 중의 하나였다.

    영어초록

    Uigwe (儀軌, records of court banquets) was a book that serves as a model for ceremonies. The Joseon dynasty, which establishedConfucianism as the nation’s guiding doctrine, held state ceremonies based on the five ceremony rules. Each time a ceremony was completed, the details were recorded in the uigwe. State banquets held by the royal court of the Joseon dynasty included the Pungjeong (豊呈), Jimyeon (進宴), Jinchan (進饌) and Jinjak (進爵). The uigwe, which consist of detailed records written after each royal court banquet, constitute a precious source of information for modern-day historians. As the scope of this paper is limited to jeongjae (呈才, court ensemble performance consisting of singing, dancing, and the playing of instruments) among the banquets held by the royal court, it aims to gain an understanding ofthe trends and preferences concerning jeongjae in the Joseon period.
    The oldest surviving uigwe is the Pungjeong Dogam Uigwe, which was compiled in 1630 or the 8th year of King Injo’s reign. Other such records of earlier periods were all destroyed during various wars. Thus, this study refers to the relevant articles contained in the Joseon Wangjo Sillok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or the period that preceded 1630, dividing the periods into Period 1, i.e. the period that preceded 1630 Period 2, i.e. the remaining period of King Injo’s reign through to King Jeongjo’s reign; Period 3, i.e. the period spanning the reign of King Sunjo through to that of King Heongjong and Period 4, i.e. the reign of King Gojong through to the end of the dynasty, with the reigns of Sunjo and Gojong marking a turning point concerning the jeongjae.
    During the Joseon dynasty, new court performances were created and others abandoned, while some of those used in the Goryeo period continued being performed, depending on their respective purposes. New songs were composed at the king’s request and transformed into jeongjae. Once their original purpose was forgotten amid the flow of time, the songs were no longer used at banquets. Certain versions of jeongjae, such as Pogurak and Yeonhwadae,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day, indicating their popularity.
    Jeongjae were selectively used,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transmission/creation, change/evolution or inflow/sprea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banquet. It was a factor that made banquets held by the royal court appear even gran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