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필기·야담집 속 지식인의 巨人에 대한 상상과 그 원천 (Intellectuals' Views of Giants and Their Origin in Pilgi and Yadam of Chosu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4.04
20P 미리보기
조선 필기·야담집 속 지식인의 巨人에 대한 상상과 그 원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16권 / 147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정숙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異物에 대한 상상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巨人에 대해 필기· 야담집에 기록된 조선 지식인들의 시선을 분석하고자 한다. 주지하듯 巨人에 대한 원시적 상상력은 창조신화에서 세계의 창조의 주체로 등장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마고할미나 설문대할망, 노구할망 등 지형을 창조했던 여신의 모습으로 출현하였다.
    민간의 설화 속에서 등장하던 여신은 문헌 속으로 들어오면서 지식인의 시선에 의해 그 의미가 왜곡되고 축소되며 부정적 모습으로 변질되는 경향을 보인다. 초기 문헌인 『삼국유사』 속 거인의 모습은 임금의 큰 키와 거대한 음경으로 임금의 권위와 영웅적 면모를 상징하였다면 점차 의미가 약화되어 『어우야담』이나 『동야휘집』, 『청구야담』 등에서 보듯 거대한 몸집에서 느껴지는 위압감이 묘사되다가 더 나아가면 인간을 찢어 먹는 등 잔혹한 공포의 대상으로 묘사된다. 이는 거인을 마고할미 이야기에서 느껴지는 우호적 어머니나 위대한 창조주의 의미로서가 아니라 멀리 떨어져 인간과 화합할 수 없고 도리어 대결과 공포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헌 속에서 거인을 잔혹한 異物로 상상하고 부정적 묘사를 덧붙인 것은 근본적으로 귀신, 요괴 등 異物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부정적 시선이 자리하지만, 거인에 대한 묘사가 마치 야차나 나찰을 묘사한 『태평광기』의 기록과 매우 흡사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조선 지식인들에게 人魚 등 매우 이질적인 대상들을 묘사하는 경우 그 원천이 『태평광기』인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나 유몽인을 비롯한 조선의 많은 지식인들에게 『태평광기』가 열독되던 분위기, 그리고 『태평광기』를 비롯하여 거인관련 중국 문헌의 시대가 당, 송대였던 것을 미루어볼 때 조선 필기, 야담집 속 지식인들이 지닌 거인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형상에 대한 구체적 상상력의 문헌적 원천을 『태평광기』를 비롯한 당·송대 문헌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part of research on the imagination of intellectuals for alien things during Chosun,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ir views recorded in the Pilgi and Yadam on giants. As it is known, the primitive imagination for giants began with the goddesses of world or geographical feature creation.
    As the goddesses of folk tales moved into literature, their meanings were distorted and reduced and even turned negative by the views of intellectuals. In Samgukyusa, one of the early literature, giants represented the authority of king and heroic aspects with their enormous height and penis. As their meanings gradually weakened, Eowooyadam, Dongyahuijip, and Cheongguyadam depicted the imposing aura of giants based on their massive figure. Later, they started to be described as the objects of brutal fear, tearing apart people and eating them, which indicates that people saw giants as those who were distant from human beings, could not harmonize with them, and were the objects of confrontation and fear instead of friendly mothers or great creators found in the Seolmundaehalmang story.
    In literature, giants were imagined as cruel aliens and had negative descriptions added to them basically because intellectuals of Chosun had a negative view of alien things such as ghosts and monsters. It is noteworthy that the depictions of giants are very similar to the records of Taepyeonggwanggi describing Yachas and Nachals. It will be safe to say that the literature of Tang and Sung such as Taepyeonggwanggi was the origin of intellectuals' negative views of giants and concrete imagination for their shapes in the Pilgi and Yadam of Chosun, given that Taepyeonggwanggi was the source of depictions of very alien things such as mermaids among the intellectuals of Chosun in many cases, that Taepyeonggwanggi was a popular book among many intellectuals of Chosun including Yu Mong-in, and that Chinese literature related to giants such as Taepyeonggwanggi was from Tang and Sung Peri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