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의약동참과 내침의 신분 연구 -『璿源續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status of Euiyakdongcham and Naechimeui in the late Joseon Dinasty - focused on Sunwonsokb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8.04
28P 미리보기
조선후기 의약동참과 내침의 신분 연구 -『璿源續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9호 / 208 ~ 235페이지
    · 저자명 : 박훈평

    초록

    조선 후기 중앙의 의학 관료는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다수는 기술직 중인 가계 출신으로 의학 취재나 의과를 거쳐 三醫司나 各司의 의관 직에 종사했다. 다른 부류는 출신 신분이 다양하며 추천에 의하여 內鍼醫와 議藥同參이 되어 왕실진료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의학인물연구에 있어 왕실족보인 『璿源續譜』에 주목했다. 족보편찬이 관청에 의해 수행되어 내용 오류가 적고, 수록 내용에 있어 적파 뿐 아니라 서파도 충실하게 수록하였다.
    본고는 먼저 『璿源續譜』에 수록된 인물을 중심으로 내침의, 의약동참의 가계와 그 후손 조사를 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분석한 『璿源續譜』 수록 인물은 14명이다. 전체 입속자와 비교하면 소수의 사례라 한계가 있지만 그 분석을 통해 일정한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약동참선생안』과 『내침의선생안』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완하고 비판하면서 다시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침의와 의약동참은 서얼가계의 신분 상승 방편이다. 의약동참의를 지낸 서얼가계의 세전 양상도 그렇게 해석된다. 서얼임에도 동반직 또는 목민관이 될 수도 있는 것이 내침의, 의약동참 제도였다. 다만 이는 국왕의 은전이라는 성격이 강했고, 서얼들이 문무과를 합격하더라도 淸職에 갈 수 없는 사회적 한계를 여실히 반영한다.
    둘째, 조선후기 내의가 의과출신자로 한정되면서 실력 있는 외방의 藥醫가 왕실진료에 참여할 기회가 사라졌다. 이를 보완하여 상설화시킨 것이 의약동참의라 추정된다.
    셋째, 의약동참청 설립 이후로 내침의의 사회적 지위 하락이 나타난다. 조선 후기 내침의들의 경관직 진출이 17세기에 가장 활발하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내침의의 사회적 지위 하락과 관련이 깊다.

    영어초록

    The medical bureaucracy in the midd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wo classes. Many of them came from technical middle class's family and worked as medical officials of three medical offices and various government offices through medical Chuijae and medical public examination. The other class did not have a constant identity, they became Euiyakdongcham and royal acupuncture doctor (Naechimeui) by recommendation and participated in royal medical car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Sunwon-sokbo, which is the genealogy of the royal family in the study of medical characters. The genealogical compilation was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re were few errors in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legal wife's children as well as the children of a concubine were recorded faithfully in Sunwon-sokb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mily and the descendants of Euiyakdongcham and Naechimeui, focusing on the peoples in Sunwon-sokbo. All of Sunwon-sokbo's characters analyzed in this paper are 14 people. There are a few cases of limitations in comparison with all members, but it has founded a certain tendency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reviewed again after supplementing and criticizing previous studies on List of Euiyakdongcham and List of Naechimeui-seonsaenga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reavealed the following tendency which include: 1) Euiyakdongcham and Naechimeui are tools for raising the status of the family of the concubines. An example of this is the handing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child of a concubine that has been Euiyakdongcham. It was Euiyakdongcham and Naechimeui that could be either a Dongban official or a County Magistrate, even from a Seol. However, this reflects the social limitations of the King's grace, which can not be assigned to important office even if Seol pass the Munmugwa.
    2) Naeui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limited to those who passed medical examination. Thus, the opportunity for a good medication doctor to participate in royal treatment has disappeared. It is presumed that Euiyakdongcham has been supplemented to make it permanent.
    3) After the establishment of Euiyakdongcham office, Naechimeui's social status decline appears. Naechimeui 's entry into the central post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most active in the 17th century and gradually tends to decline after that, which is related to Naechimeui 's social status decl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