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코시네마의 관점에서 본 자장커 영화 속 인물과 풍경 (The Characters and Landscapes in Jia Zhangke’s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Ecocinem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3.09
28P 미리보기
에코시네마의 관점에서 본 자장커 영화 속 인물과 풍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학지 / 84호 / 209 ~ 236페이지
    · 저자명 : 김정구

    초록

    21세기 접어들면서 인류는 지구온난화, 기후위기, 생물종의 다양성 감소 등 삶을 위협하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인간중심주의가 지구에 미친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반성이 고조되었다.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인류세, 포스트 휴먼, 신유물론 등은 이러한 생태적 위기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각성을 촉구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에코시네마(ecocinema)’는 생태비평(eco-criticism)의 한 분야로서 인간과 환경의 변화의 관점에서 영화를 사고하는 제반 연구를 의미한다.
    최근 중국 영화 연구 분야에서 에코시네마는 주요 관심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중국 에코시네마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지난 수십 년간 벌어진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 도시변화, 환경파괴에 대한 영화적 반응이자 반성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중국을 대표하는 영화감독 중 한 명인 자장커 감독은 중국의 급속한 변화와 이로 인한 개인의 삶과 자연의 파괴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의 영화에서 인물들은 국가의 서사, 즉 경제 발전과 현대화, 전지구화(globalization)의 새로운 변화에 소외되면서 삶의 방향을 상실하거나 도시의 주변부를 배회한다. 자장커의 영화에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은 언제나 인물을 압도하며 서사의 긴장은 인물들 사이에서 발생하기 보다는 인물과 환경 사이의 갈등에서 유발된다.
    자장커의 영화 <스틸 라이프>(2006)는 양즈강의 싼샤댐 건설로 폐허가 된 작은 마을 펑지에의 풍경을 담고 있다. 이 영화에서 두 주인공은 부서져가는 풍경을 바라보기 위해 이 마을을 배회하고 서성인다. 이들은 풍경을 바라보는 주체라기보다는 풍경의 일부로서 영화적 대상(객체)이 된다. <스틸 라이프>의 카메라는 인물들이 공간에 도착하기 전에 먼저 도착하고 인물들이 그 공간을 떠나도 카메라는 그곳에 남아 공간을 응시한다. 이 영화는 수천 년을 지속한 오래된 마을이 경제 발전에 의해 부서지는 풍경을 담담히 바라보고 그곳에서 위태롭게 살아가는 인민들의 삶을 담아낸다. <스틸 라이프> 이후 자장커는 인간과 환경, 주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사유를 통해 비인간중심주의적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국가 발전주의에 대한 영화적 저항이자 보이지 않던 존재인 인민들의 존재를 드러내고자 하는 미학적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21st century, humankind has faced new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global warming, climate crisis, and reduced biodiversity. For this reason, it is argued that how much the existing anthropocetrism has made the ecological crisis on the Earth. The anthropocene, post-human, and neo-materialism discourses show a certain trend that calls for new awareness and awakening of these ecological crises. Ecocinema is a field of ecological criticism and refers to the study on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Recently, ecocinema has emerged as one of the major areas of interest in the field of Chinese film studies. In a sense, Chinese ecocinema studies can be understood as a cinematic response and reflection on Chin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urban change,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the past decades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One of the Chinese most prominent filmmakers, Jia Zhangke, has been paying keen attention to China's rapid changes and the resulting destruction of individual lives and nature. In his films, the characters are usually alienated from the national grand narrative, economic development,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and lose their way of life or wander around the margin of the city. In Jia’s films,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always overwhelms the characters, and the tension in the narrative is caused by the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environment rather than between the characters.
    Jia‘s film Still Life (2006) features the landscape of Fengjie, a small village ruin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anxia Dam on the Yangzi river. In the film, the two main characters roam around the village to look at the broken landscape. They become cinematic objects as parts of the landscape rather than subjects looking at the landscape. The camera in Still Life arrives first before the characters arrive in the space, and even if the characters leave the space, the camera stays there and stares at the space. The film calmly looks at the landscape of thousands of years of old villages being destroyed by economic development and captures the lives of the people living in this dangerous area. Since Still Life, Jia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and the nature, or the subject and the object with a non-anthropocentric attitude. This is his cinematic resistance to the national narrative of development and an aesthetic practice to reveal the existence of the people who has not been seen on scre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