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학 경전 속의 ‘열락’에 대한 심미적 이해와 정치적 교화 (Athetic Uerstanding of ‘Peasure’ in Confucian Sriptur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유학 경전 속의 ‘열락’에 대한 심미적 이해와 정치적 교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28호 / 75 ~ 101페이지
    · 저자명 : 엄연석

    초록

    이 글은 유학 경전 속에 나타난 ‘열락(悅樂)’이라는 심미적 감수성을 유학의 도덕적 수양의 근본이념인 인의(仁義)와 정치사회적 규범과 화합통일의 원리로서 ‘예악(禮樂)’과 연관하여 그 상관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유가 경전에서는 통치를 위한 도덕적 지향, 정치적 상황 및 통치자의 태도와 연관하여 내적 기쁨과 외적 즐거움을 종종 언급하고 있다. 유학에서 열락은 한편으로 도덕적 이념을 추구하는 군자 또는 통치자의 내적 도덕적 만족감에 대한 기쁨과 즐거움이며, 다른 한편 피통치자인 민중들의 통치자의 통치에 대한 만족감의 내적 외적 표현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통치자와 피통치자가 각각 가지는 내적 외적 기쁨과 즐거움으로써 ‘열락(悅樂)’은 통치의 도덕적 이념이자 객관적 규범체계 및 화합의 원리로서 인의예악(仁義禮樂)과 긴밀한 연관성을 갖는다. 『논어』, 『맹자』에서 ‘열락[說]’, ‘열(悅)’은 기본적으로 도덕적 지향을 가지는 통치자와 피통치자로서 백성들이 도덕적 만족감 또는 이상적인 정치적 질서가 실현될 때 느끼는 심미적 감수성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통치자에게서 ‘열락[說]’이 도덕적 의지와 지향을 가지고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데서 느끼는 심미적 만족감으로 이해된다면, 일반 백성에 있어서 그것은 통치자가 도덕적 의지를 가지고 안정되고 평화롭게 자신들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질서체계와 환경을 만들어 줄 때 느끼는 감정이다. 결론적으로 유학 경전에서 말하는 ‘열락[說]’또는 ‘기쁨[悅]’은 통치자와 일반 백성들 사이의 도덕적 심미적 공감을 소통시켜주는 지표이자 기준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lates the aesthetic sensibility of ‘pleasure’ found in Confucian scriptures to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s the basic ideology of Confucian moral cultivation, political and social norms, and ‘rites and music’ as the principle of harmony and unification.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al meaning. Confucian scriptures often mention internal and external joy in relation to the moral orientation for governance,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ruler's attitude. In Confucianism, pleasure is, on the one hand, the joy and enjoyment of the internal moral satisfaction of a gentleman or ruler who pursues moral ideology, and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an internal and external expression of the governed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ruler's rule. However, ‘pleasure’, which is the internal and external joy and enjoyment that rulers and ruled each have, is closely related to benevolence, righteousness, righteousness, and music as a moral ideology of governance, an objective normative system, and a principle of harmony. In 『Analects of Confucius』 and 『Mencius』, ‘pleasure[說]’ and ‘zeal(悅)’ basically refer to the aesthetic sensitivity felt by the people as morally oriented rulers and ruled in an environment where moral satisfaction or an ideal political order is realized. has the meaning of In particular, if ‘pleasure [說]’ for rulers is understood as the aesthetic satisfaction felt in realizing an ideal politics with moral will and orientation, for the general public it means that rulers can lead their lives stably and peacefully with moral will. This is the feeling you get when you create an orderly system and environment. In conclusion, ‘pleasure [說]’ or ‘joy [悅]’ mentioned in Confucian scriptures is an indicator and standard that communicates moral and aesthetic sympathy between the ruler and the general public. As seen in the examples of 「Taegwae(泰卦)」 and 「Yegwae(豫卦)」, 『Juyeok』, like the Good and Bad Hoein(吉凶悔吝), presents value standards for good and bad for external situations, allowing people to follow them. Depending on whether you follow it or not, it is predicted that emotions such as joy and joy, or conversely, sadness and depression, will be expressed. In short, in Confucianism, rites and music are the principles that bring order and harmony between rulers and ruled together, and pleasure becomes an objective opportunity for them to communicate through aesthetic sensitivit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