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현대소설 속 여성 거식증에 나타난 주체화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y of subjectivation performed by women with anorexia in Korean novel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1.08
31P 미리보기
한국 현대소설 속 여성 거식증에 나타난 주체화 전략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5권 / 3호 / 85 ~ 115페이지
    · 저자명 : 우신영

    초록

    이 연구는 한국 현대소설 속 여성의 거식이 세대에 따라 독특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발화 전략이자, 독자의 사회문화적 독해를 기다리는 해석적 기점이라는 가설을 수립하고, 각 작품들을 경유하며 그러한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거식증은 필사적인 통제와 섭생, 자기관리를 요하는 신체의 기술이자, 그러한 기술을 통해 정체성을 구성해가는 전략이다. 한국 현대소설 속 여성들이 앓는 거식증을 탐구하는 작업은 각 시대 한국 여성들의 정상적 발화와 섭식을 가로막고 있던 여러 개의 손을 직시하게 하고, 앓는 몸의 형식으로만 그들이 증언할 수 있던 것을 청취하게 한다. 이 글에서 분석될 세 편의 현대소설 속 거식증 여성들은 '먹기' 즉 '이런 식의 생존'을 거부하고, 대신 '진짜 삶을 살기'를 꿈꾼다는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증상과 정체성 구성 과정을 보인다. 분석 결과 박완서 <도시의 흉년> 속 지수연의 거식증은 한국 전쟁이 낳은 부모세대의 결핍과 욕망을 바로 마주보는 작업, 그리고 그 유산을 상속받기를 거부하고 ‘참 자기’의 입맛을 찾아가는 자아 찾기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신경숙 <멀리, 끝없는 길 위에> 속 이숙의 거식증은 정의를 향한 크고 강력한 구호가 요구되던 1980년대와 불화하는 자아의 근원적 수줍음과 부끄러움을 드러낸다. 한편 한강 <그대의 차가운 손> 속 L의 거식증은 여성 신체에 자행되는 폭력과 평가에 고통 받던 주체가 그로 인한 수치심과 분노를 자신의 신체에 각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세 여성의 거식증은 시대도 증상도 원인도 다르지만 진짜 음식을 찾는 과정에서 앓게 되는 증상이라는공통점이 있다. 대결의 장소였던 그들의 신체는 거식증 앓기를 통해 세상에 말을 걸고, 새로운 주체 ‘되기’를 욕망한다. 그러한 발화가 발생한 곳과 도달하려는 곳의 격차를 읽어내는 작업을 통해 한국문학 속 여성의 (앓는) 몸과 (구성되는) 자아, 그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시공간이라는 삼원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stablished the hypothesis that women's anorexia in modern Korean novels is carried out in a unique way according to generations, and that it is an analytical point waiting for readers' socio-cultural reading. Anorexia is a technology of the body that requires desperate control, subsistence, and self-management, and a strategy to construct identity through such technology. Exploring the anorexia that women in modern Korean novels suffer from makes them face-to-face with the hands that have hindered Korean women's normal eating and listen to what women could only testify to in starving bodies. The three anorexic women in the modern novel, which will be analyzed in this article,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refuse to "eat" or "this way of survival," and instead dream of "living a real life," but show various forms of symptoms and identity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each work. According to the analysis, Ji Soo-yeon's anorexia in Park Wan-seo's "The Poor Year of the City" is a project to find self-seeking that faces the deficiency and desire of the parents' generation caused by the Korean War and refuses to inherit the legacy. Lee Sook's anorexia in Shin Kyung-sook's <Far, Endless Path> reveals the original shyness and shame of the self that dissociated in the 1980s when a large and powerful slogan for justice was demanded. Meanwhile, L's anorexia in Han kang's "Your Cold Hand" shows the process of imprinting shame and anger on her body by the subject suffering from violence and evaluation on the female body. The three women's anorexia have something in common, although the ages, symptoms, and causes are slightly different. It's a symptom of suffering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real self. Their bodies, which used to be a place of confrontation, talk to the world through anorexia and desire to be a new subject. Reading the gap between where such desires arise and where they are to be reached is nothing more than identifying the three-way relationship between a woman's (sick) body, self, and (socio-cultural) space surrounding 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