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난 속에서 쓰기 - 한국 근대문학의 재난적 성격에 대한 시론 (Writing in Disaster : An Essay o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s Characteristic of Catastroph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1.02
38P 미리보기
재난 속에서 쓰기 - 한국 근대문학의 재난적 성격에 대한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1권 / 11 ~ 48페이지
    · 저자명 : 차승기

    초록

    동아시아 전쟁, 주권 상실, 식민지로의 전락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한국 근대문학에 있어 재난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자율적으로 미래를 기획할 수 없는 식민지 상태에서의 근대화 과정은 통치와 통치불가능의 경계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의 긴장을 고도화해 왔기 때문이다. 한국 근대문학에서 나타나는 ‘재난 서사’는 이 타율적이고 무주권적인 세계를 견디는 행위의 산물이기도 했다.
    『혈의 누』와 『무정』에서 볼 수 있듯이, 근대화를 적극적으로 지향하는 재난 극복의 서사는 식민주의적 통치성을 모방하는 형태로 구성되기도 했다. 하지만 신경향파와 카프 계열의 소설에서 발견되듯, 재난은 식민주의적 통치성 내부의 균열, 갈등, 적대에 눈뜨게 하고 현존하는 통치를 부정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특히 카프 계열의 ‘재난-극복 서사’는 새로운 주체 및 대안적 통치성의 알레고리로 읽힐 수 있다. 그 대신, 이 서사적 기획 속에서 재난은 기존의 통치성을 뒤흔들고 관습적 세계를 파괴하는 폭력으로서보다는 대안적 정치-윤리를 획득하기 위한 기회처럼 배치되곤 한다.
    재난이 담지한 폭력성이 물리적 세계만이 아니라 기존의 윤리적․관습적 세계를 향해 있기도 하다는 점, 즉 재난은 윤리적 재난을 수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시체제기의 김남천의 글쓰기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재난적 상황이 초래한 통치와 통치불가능의 경계에서 윤리적 전환의 지속(durée)을 관찰한다. ‘전환기’의 지속 안에서 ‘잔여적인 것’(the residual)과 ‘부상하는 것’(the emergent)의 충돌이 만들고 있는 파편들을 수집하는 그의 ‘재난의 리얼리즘’은, 세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신화도 윤리도 사라진 세계에서, 쉽사리 복구나 극복으로 환원할 수 없는 재난 ‘속에서의’ 글쓰기가 갖는 윤리성을 숙고하게 해준다.

    영어초록

    Disaster has a special meaning in modern Korean literature, which has undergone wars in modern East Asia, loss of sovereignty, and decline into colonial situation. Since Korea’s modernization was developed in a colonial situation where the future could not be planned autonomously, the tensions in writing on the border between governability and ungovernability have been heightened. In modern Korean literature, “disaster narrative” was also the product of enduring this heteronomous world without sovereignty.
    As Yi In-jik’s Hyeorui Nu(Tears of Blood, 1906) and Yi Gwang-su’s Mujeong (Heartless, 1917) show, the narrative of overcoming disasters that actively pursues modernization was also composed of a form that immitates colonialist governmentality. Contrastingly, in novels of New Tendency Group and KAPF, disaster awakens cracks, conflicts, and hostility within colonial rule, and also makes people reject existing rule.
    The violence of disasters is directed not only toward the physical world but also toward the existing ethical and conventional world. Considering that disasters involve ethical disasters, it is important to note Kim Nam-cheon’s writing during the wartime regime. Kim observes the durée of ethical transitions in the border of governability and ungovernability caused by catastrophic situations. His “disaster realism,” which grasps the fragments formed by the conflict between “the residual” and “the emergent” within the “transition period”, brings us to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ethics of writing “inside” disaster that cannot be easily restored or overcome, in a world where myths and ethics have disappe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