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흥부전>에 나타난 聖과 俗의 統攝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and its Meaning in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7.11
35P 미리보기
&lt;흥부전&gt;에 나타난 聖과 俗의 統攝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39호 / 51 ~ 85페이지
    · 저자명 : 신호림

    초록

    본고는 <흥부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聖과 俗의 統攝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성과 속이 접속되는 지점은 흥부가 보여주는 증여적 삶과 호혜적 세계관에서 마련된다. 흥부는 경제적 무능력자로 비쳐질 수 있지만, 공동체 안에서 결핍된 인물들에게 끊임없는 증여행위를 함으로써 五倫의 외피를 입고 善의 지위를 획득한다. 놀부에게 쫓겨난 이후에 흥부는 마을공동체의 최소한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이는 어느 정도 증여가 순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제비의 등장은 보은담의 형식을 통해 증여의 순환 논리를 직접적으로 제시한다. 속의 세계에 있는 마을공동체와 성의 영역에 있는 제비에게 동일한 태도로 증여행위를 하는 흥부의 모습을 통해 성과 속의 세계는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흥부의 행동양태는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현실에 뿌리를 두고 있다. 두 차례의 전쟁 이후 조선후기 향촌사회는 사회적 동요를 봉합하기 위해 공동체적 규범을 다져나갔다. 그 과정에서 최소한의 생계윤리를 위해 공동체적 단위에서 도출되는 도덕경제가 개인의 행위에 기입될 수 있었다. 호혜성의 규범과 생계에 대한 권리를 두 가지 도덕적 원리로 가지는 도덕경제 체계에서 공동체 구성원은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보다는 상호호혜적인 방향성을 채택하게 되었다. 이런 양상은 흥부가 마을공동체와 제비를 향해 증여행위를 하고, 증여의 순환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상호 호혜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것과 연결된다.
    <흥부전>에서 성과 속은 접속의 단계에서 더 나아가 통섭의 단계로 나아간다. <흥부전>의 근원설화로 언급되는 모방담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모방담은 성의 개입을 통해 선악담론에 당위를 제공함으로써 성이 속을 통섭하는 구도를 만들어낸다. 그에 반해 <흥부전>은 제비와 박 화소를 끌어들임으로써 흥부의 삶의 태도에서 도출할 수 있는 도덕경제의 의미를 강화시키는 면모를 보여주며, 성의 영역을 근거로 속의 규범을 표면으로 드러낸다. <흥부전>에서 흥부의 행위는 초월적 근거를 확보한 현실적인 행동 양태로 거듭남으로써 모방담에 나타난 성속의 통섭 양상을 전도(轉倒)시킨다.
    속이 성을 통섭하는 구도는 성의 세계와 맺던 관계의 규약들을 속의 세계에서 하나의 규범으로 상정시킨다. <흥부전>은 속이 성을 통섭함으로써, 공동체 안에서 개인이 지녀야 할 삶의 태도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of the sacred and profane and its meaning in <Heungbu-Jeon>.
    A connecting point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in <Heungbu-Jeon> is based on the lifestyle of Heungbu. On the one hand he looks like economical incompetent, on the other hand he donates everything he has to the people in his community. Also people in his community somehow help Heungbu when he gets in economical trouble. This is what we call the circulation of gift giving and reciprocity of the community. The swallow motif shows this mechanism directly. Because the attitude of Heungbu is not quite different to both people on the profane space and swallow on the sacred space, two heterogeneous spaces can be connected.
    The aspects of Heungbu’s behavior are rooted in the reality of rural community society in Choson dynasty. After two times of war, almost all of communities fall in pieces and members of community try to rebuild the community standard in order to recover the social order. It leads the people do something reciprocal as Heungbu does in <Heungbu-Jeon>. These movements consist not only of the safety first but also of the right to subsistence; it can be called the basic principle of moral economy.
    Moreover, <Heungbu-Jeon> restructuralizes two spaces, the sacred and profane: the profane contains the sacred after they are connected. It means the behavior of Heungbu is not individual. His behavior, now, has transcendental basis and this could become one of the social norms. In conclusion, <Heungbu-Jeon> casts some important messages: what kinds of attitudes the individual must have in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