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조대 『國朝續五禮儀』 편찬 과정과 편찬자들 (The process of publication and compilation members of Gukjosokoryeŭi during King Yeŏngjo’s er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7.09
28P 미리보기
영조대 『國朝續五禮儀』 편찬 과정과 편찬자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2호 / 257 ~ 284페이지
    · 저자명 : 박수정

    초록

    『국조오례의』 편찬(1474, 성종 5) 이후, 270년이 지난 시점에 후속편에 해당하는 『국조속오례의』의 편찬이 이루어졌다. 영조는 1740년(영조 16) 6월 3일에 편찬의 명을 내린 뒤, 1741년(영조 17) 5월 1일에 대제학 李德壽에게 개정작업을 맡기고, 閔應洙와 수정 방법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는 등의 논의를 진행하였다. 어떠한 항목이 들어가야 하고 빠져야 하는지, 주를 다는 방법, 책명은 무엇으로 할지, 편찬자들의 인적 변동사항과 같은 구체적이고 세밀한 부분에 이르는 내용의 편찬 논의였다. 1744년(영조 20) 8월 27일 완성에 이르는 시점까지의 편찬 과정을 통해 의례서 편찬에 대한 영조의 관심이 매우 컸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편찬 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주례』가 『속오례의』 편찬에 등장하는 이유와 군신복제 논의, 편찬자 구성원에 대해 고찰해보면 『속오례의』 편찬의의를 찾을 수 있다. 숙종 때 임금과 신하의 복제 논의가 있었지만 아직 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1740년(영조 16) 영조는 『주례』를 이념으로 하는 소론을 구성원으로 하여 『속오례의』를 편찬하도록 하였다. 이는 경신처분을 통해 신임옥사의 혐의를 벗은 영조가 출사의 명분을 회복한 노론에게 전권을 일임하지 않고, 편찬의 책임을 맡김으로써 소론에게도 정계에 참여할 수 있는 명분을 주었던 것인데, 이때 『주례』는 편찬자를 등용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 영조가 노․소론 양측의 지지를 받아 의례서를 완성한 것은 노․소 탕평 정책에 의해 빚어진 결과물이었다.

    영어초록

    In 1744(the 20th year of Yŏngjo reign) when 270 years had passed after compilation of 『Kukcho oryeŭi(國朝五禮儀)』(1474, the fifth year of Seongjong reign), 『Kukcho Sok oryeŭi(國朝續五禮儀)』(hereinafter referred to as 『Sokoryeŭi』), which corresponds to its sequel was compiled. Nominal meaning of compilation was that ‘traditional manners became slack over time so that this was not fit to the era.’ But the study believes that this ceremonial book was made because of political nature, not reorganization of national ceremonies. So the author understood actual reason of the compilation from aspect of strengthening royal power. The compilation of 『Sokoryeŭi』 made at the time when issue of justification as a King for Yŏngjo was solved was a method to strengthen royal power.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Sokoryeŭi』) compilation as compilation background of 『Sokoryeŭi』).
    In 1740(the 16th year of Yŏngjo reign), there was an order from the king to compile 『Sokoryeŭi』. In the period of Sookjong, discussion on costume manners for king and retainers existed but it was not published in book. So such order was made during Yŏngjo reign.
    Let’s look into compilation process through ‘『Joorye』’ and ‘discussion on costume manners for king and retainers’ which appear in Silrok article. Yŏngjo wanted to compile ceremonial book as he intended. So he organized compilers for 『Sokoryeŭi』 included to Soron who took ideology of 『Joorye』. Yŏngjo intended to take offense related to SinimOksa through GyeongshihCheobun, and to run the government with the policy of NoSo Tangpyeong. Accordingly, Yŏngjo entrusted the responsibility of the publisher to Soron and reflected Uiriron of Noron on the ceremony, so ceremonial book was completed under support from both Soron and Noron.
    Chapter1 dealt with the reason why 『Joorye』 appears in compilation of 『Sokoryeŭi』, discussion on costume manners for king and retainers, survey on members of compilers. On the other hand, Compilation development of 『Sokoryeŭi』 of chapter2 describes period from June 3, 1740(the 16th year of Yŏngjo reign) when order for compilation was made, to Aug. 27, 1744(the 20th year of Yŏngjo reign) at the time of its comple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