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의 밀림 속에서-구조책(救助策)으로서의 문헌학 (Philologie als Rettung im Dickicht der Text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12
23P 미리보기
텍스트의 밀림 속에서-구조책(救助策)으로서의 문헌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일어문화권연구 / 28호 / 255 ~ 277페이지
    · 저자명 : 이승진

    초록

    문학은 텍스트 없이는 존재하지 못한다. 작가에서 독자에게로 이르는 문학소통과정의 중심에 언제나 텍스트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석(분석)하려는 작품의 텍스트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작품은 여러 판본을 가지고 있어 작가와 독자들은 어떤 텍스트를 대상으로 독서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지 갈피를 못 잡는 경우가 많다. 문헌학자들은 작품 텍스트의 이러한 혼돈 상태를 텍스트의 밀림으로, 서지학을 이 텍스트의 밀림 속에서 빠져나오는 구조책으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 구조책으로서의 문헌학(서지학)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2장에서는 대표적인 문헌학적 구조책으로 유럽 및 영미권에서 발전시킨 역사⋅비평본 편집술에 대해, 3장에서는 구조책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텍스트의 밀림은 작가의 저술방식과 원고보존 상태 등에 따라 작가나 작품별로 매우 상이하다. 그러므로 3장에서는 작가나 작품별로 특화된 구조책, 즉 다양한 텍스트 편집⋅출판 방식이 제시된다. 우선 게오르크 하임의 ‘역사⋅비평본’ 전집에 이어 최근 디지털매체의 발달로 가능해진 하이브리드 출판을 켈러 전집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밖에도 특정 작품에 특화된 독특한 편집⋅출판을 보여주고 있는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고통』(병렬출판), 쉴러의 『군도』(학업본), 괴테의 서간집(리제스트 출판)에 이어 마지막으로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비교적 높은 수준의 편집⋅출판인 이상화와 이청준의 작가전집에 대한 텍스트 비평적 고찰이 수행되었다.

    영어초록

    Literatur kann ohne Text nicht existieren. Denn im Zentrum der literarischen Kommunikation vom Autor bis zum Leser steht immer der Text. Es gibt jedoch selten einen einzigen zu interpretierenden Text eines Werkes. Die meisten Werke haben mehrere Fassungen, sodass Autoren und Leser oft kaum eine Ahnung haben, welchen Texte sie lesen oder analysieren sollen. Die Philologin Gesa Dane an der Freien Universität Berlin versteht diesen chaotischen Zustand des Textes als “Dickicht der Texte” und Rolf Reuss an der Universität Heidelberg nennt “Philologie als Rettung” im Dickicht der Texte.
    Dieser Aufsatz ist eine Studie zur Philologie als Rettung. Zunächst wird im Kapitel 2 das Wesen der historischen und kritischen Edition, die v.a. in Europa entwickelt wurde, untersucht.
    Das Dickicht der Texte ist sehr unterschiedlich und hängt von der Schreibweise des Autors und dem Erhaltungszustand der Schriften ab. Daher werden in Kapitel 3 Beispiele von Edition untersucht, zuerst die Historisch-Kritische Edition am Beispiel der Werke von Georg Heym und die Hybrid-Edition, die durch die jüngste Entwicklung digitaler Medien ermöglicht wurde, am Beispiel von Gottfried Keller. Darüber hinaus werden die Editionen, die je auf ein Werk spezialisiert sind, vorgestellt: der Paralleldruck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 von Goethe), die Studienausgabe (Die Räuber von Schiller). Zuletzt wird die Textkritik an wissenschaftlichen Editionen in Korea durchgeführt: Die Gesammelte Lyrik von Sanghwa Lee und die Gesamtausgabe von Chungjun Le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어문화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