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청전> 속 심봉사의 남성 젠더 실천 양상과 그 의미 (Sim Bongsa’s implemented aspects of masculine gender and its meaning in The Tale of Sim Cheo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6
36P 미리보기
&lt;심청전&gt; 속 심봉사의 남성 젠더 실천 양상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53호 / 129 ~ 164페이지
    · 저자명 : 이채은

    초록

    한 사회에서 규범화된 남성성, 또는 남성다움의 기준은 남성주체들이 믿고 따라야 하는 하나의 이념으로 작동한다. 이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다. 이 연구는 조선 후기의 판소리 작품 <심청전> 속에서 심봉사라는 남성 인물이 당대의 규범화된 남성성, 남성다움의 기준들을 의식하는 가운데 어떠한 젠더 실천들을 보여주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실천들이 지니는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작품 속에서 심봉사는 비록 타고난 신분은 양반이지만 안맹(眼盲) 때문에 조선시대 지배 집단의 ‘헤게모니적 남성성’과는 멀어진 존재로 그려진다. 눈이 보이지 않기에 그는 온전한 양반의 노릇도, 그렇다고 평민의 노릇도 할 수 없는 ‘주변화된 남성’의 삶을 살아간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심봉사의 삶은 다음과 같은 남성 젠더 실천 양상을 포함한다: 신체적 곤란을 극복하면서 당대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기준을 충족시키려 배로 노력하거나, 혹은 남성적 주제를 계속 추구하지만 현실에서 실현 가능한 정도로 조정해서 새롭게 남성성을 정의해나가거나. 이 과정에서 그는 조선 후기 양반사대부에게 요구되던 이상적 남성성의 기준(합리성)과 평민에게 요구되던 이상적 남성성의 기준들(완력과 담력, 성적 능력)을 적절히 혼합시켜 현실에 대처해나가는 개성적이고 입체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심청전>의 초중반에는 심봉사의 무기력하고 무능력한 삶을 통해 남성성의 위기 상황들이 고조되지만, 결말에 이르러서는 남성성의 위기를 극복해낸 심봉사의 후일담이 자세하게 펼쳐진다. 심봉사는 부원군의 자리에 오르면서 지배계층으로서의 삶을 회복하고, 그를 곤란에 빠뜨렸던 문제적 여성 뺑덕어미를 처벌하고, 또한 안씨 맹인과의 사이에서 아들까지 얻어 영화를 누린다. 심봉사뿐만 아니라 다른 맹인들이 모두 눈을 뜨게 되는 것으로 확대되는 서사는 국가적, 집단적 차원에서의 남성성 회복에 대한 열망을 암시한다. 남성성의 위기와 강화를 동시에 보여주는 <심청전>의 서사는, 남성성에 대한 위기의식의 고조와 동시에 성리학적 종법질서의 강화와 가부장제 확대가 공존하던 조선 후기의 사회적 분위기와도 일맥상통한다.

    영어초록

    Normalized masculinity in society, or the standards of manliness, functions as a type of “dominant fiction” that men must have faith in and follow. In other words, men are continuously demanded to embody the exemplary model of masculinity defined by society. This applies to modern men, but also men in the Joseon dynasty. This research is based on R.W. Connell’s theory of masculinity, and it explores how the character Sim Bongsa– from Joseon dynasty’s later period’s pansori of The Tale of Sim Cheong– portrays the implementations of the masculine gender, and what meaning it carries.
    Although Sim Bongsa is born a ‘yangban’ (the aristocratic class in Joseon) in the text, due to his blindness he is depicted as a figure removed from Joseon’s dominating class’s no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Because he is unable to see, he lives the life of a “marginalized man” and is neither able to live as a true yangban as a commoner. Sim Bongsa’s life includes the following implemented aspects of male gender: he either attempts to overcome his physical difficulties by making a tremendous effort to meet the standards of hegemonic masculinity of his time, or continues to seek masculine subjectivity but adjusts it to make it realistically achievable to create a new definition of masculinity. In this process, he makes an individualized and dynamic attempt to cope with reality. This is achieved by complexly merging the idealistic notion of masculinity required of a yangban in later Joseon (rationality based on rhetorical embellishment abilities), with the idealistic notion of masculinity required of a commoner (physical strength, courage, sexual abilities).
    While the beginning and middle part of the text show Sim Bongsa’s threatened masculinity through the depiction of his lethargic and incapable life, as the plot reaches its denouement, he ‘overcomes’ these threats. Thus, he is shown to have developed into a firm character. He restores his life as a yangban by becoming the father-in-law to the king, punishes woman who had caused him difficulties (Ppeng-ddeok-eomom), and gains a son by marrying a blind person with the surname of “Ahn.” Sim Bongsa’s recovery of his eyesight is accompanied by the recovery of the eyesight of all blind people in Joseon, which foreshadows the desire to recover masculinity in the national aspect. While this shows the intensified crisis of conscience regarding masculinity in later Joseon, it also paradoxically reflects the social circumstances in which patriarchal order was solidified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a neo-Confucianism order of clan ru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