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초 통신사 필담 속 衣冠 관련 기록의 양상 (Chosŏn Dress in the Written Conversations of 17th to Early 18th Century Missions to Jap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11
33P 미리보기
17~18세기 초 통신사 필담 속 衣冠 관련 기록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77호 / 93 ~ 125페이지
    · 저자명 : 장진엽

    초록

    본고는 17세기 및 18세기 초의 필담창화집을 대상으로 조선의 衣冠에 대한 이 시기 일본 문인들의 인식과 태도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관에 관한 최초의 필담은 1636년 林羅山과 文弘績이 深衣에 관해 나눈 대화이다. 창화시에서 의관 이미지를 활용한 것은 1655년 필담집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는데, 이는 1682년 임술사행 창화시에서 계승되고 있다. 조선의 의관에 관한 경모는 중화문물에 대한 동경에서 비롯한 것인데, 이러한 태도는 木下順菴과 그의 제자 및 同門의 문인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편 人見友元 등 몇몇 인물들에게서 조선 의관에 대한 고증의 태도를 발견할 수 있다.
    신묘사행 시기에는 필담창화의 증대와 함께 의관에 관한 기록도 더욱 풍부하게 나타난다. 이 시기 의관 관련 필담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화시와 필담에서 조선의 의관을 거론하며 그 威儀를 칭송하는 내용이 빈번하게 발견된다. 둘째, 조선 의관의 명칭과 제도에 대한 고증의 태도가 확산되었다. 이는 일본에 유학이 발전하면서 중화문물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결과인데, 당시 일본 학계의 박물학적 지식 추구의 분위기와도 관련이 있다. 셋째, 명의 멸망 후 조선만이 중화의 제도를 보전하고 있다는 인식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한편 新井白石에 의해 조선의 의관을 중국에 대한 예속의 증거로 보는 관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하쿠세키는 또한 천황 조정이 중국의 고대문물을 간직하고 있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는데, 이는 무진사행 이후 徂徠學派에게서 발견되는 인식과 상통하는 견해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Japanese literati towards Chosŏn dress in 17th-18th century written conversations.
    The first written conversation to mention such dress appears in a conversation between Hayashi Razan and Mun Hongchŏk on shenyi (深衣). The first mention of dress in poetry exchanges can be seen in the written conversation collection of 1655, which appears again in a poetry exchange during the 1682 mission. The admiration of Chosŏn dress originated from the veneration of Chinese culture, an attitude prominent among Kinoshita Jun'an and his disciples and their ilk. On the other hand, Hitomi Yugen and others verified the historical accuracy of the dress.
    Mentions of Chosŏn dress grew more frequent with the proliferation of written conversations during the 1711 mission. Such mentions occurred as follows: First, frequent praise of the solemnity of Chosŏn dress in poetry exchanges and written conversations. Second, research on the names and making of Chosŏn dress expanded as a result of developments in Japanese Confucianism per a deepened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which was also influenced by the trend of encyclopedic studies in Japanese scholarship. Third, Chosŏn was regarded as the sole preserver of Chinese culture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with Arai Hakuseki arguing that Chosŏn dress was evidence of subordination to China. Hakuseki also advanced the theory that the Japanese emperor’s court preserved ancient Chinese culture. This view, which corresponded with that of the Sorai school, appears in written conversations since the 1748 mi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