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설시조 속 ‘죽음’의 인식 층위와 그 시학적 의미 (Strata of Perception of ‘Death’ in Saseolsijo and its Poetic Meani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3.02
36P 미리보기
사설시조 속 ‘죽음’의 인식 층위와 그 시학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58호 / 155 ~ 190페이지
    · 저자명 : 박상영

    초록

    본 연구는 지금껏 고전시가 연구에서 주목한 바 없는 사설시조 속 죽음에 대한 인식의 층위와 그것이 갖는 시학적 함의를 한번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사설시조에는 크게 삶과 죽음을 ①단절로 인식하는 경우, ②연속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③이를 초월해 현실 비판 의식을 보여주는 경우의 세 가지가 발견된다.
    ①은 다시 죽음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슬픔을 즉자적으로 토로하는 경우와 죽음 거부의 일환으로 현세 유흥적 측면을 보이는 경우(노세류 및 탄로를 읊은 사설시조)로 나뉜다. ②는 理界가 제시되는 가운데 죽음 인식이 드러나는 경우와 理界는 없는 대신, 죽음과 재생의 순환 구조 속에서 生死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는데, 전자가 주로 공간적 차원에서 순환적 인식을 보인다면, 후자는 존재론적 차원에서 순환적 인식을 보인다는 차이가 있지만, 모두 죽음을 이승의 연장선상으로 이해한다는 점에서는 하나로 묶인다. 마지막 ③의 경우는, 생사의 단절/연속의 문제를 넘어 죽음이 작품 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 하는 면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시적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는 도구 및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되거나 반언어, 그로테스크 등 주요 미적 개념과 더불어 현실 비판의 수단으로 차용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층위의 죽음 인식 문제는, 지금껏 이 갈래의 핵심 미학으로 지적되어 온, 해학, 웃음 등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美感 너머로, 그와는 대척되는 지점에 선 비극성의 관점을 한번 들여다볼 단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가적 초월이나 유가적 현실 인식에 대한 이해의 단초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나아가 사설시조 연구에서 해묵은 핵심 논쟁거리인 에로티시즘의 문제를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 본 연구는, 또한 죽음이 삶과 뗄 수 없는 것이라면, 이제 일상(삶)-비일상(죽음)의 경계를 넘어, 이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교육도 아울러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ath in Saseolsijo and its poetic implications, which has not been a focus in the study of classical poetry. Three aspects were identified in Saseolsijo: cases where life and death are perceived as disconnected; cases where it is recognized continuously to connect the temporal life to the afterlife; and cases that show a critical consciousness of reality beyond these problems.
    The first case is discovered in one of two ways: poetic speakers accept death as it is and express their sad feelings; or poetic speakers show an aspect of secular entertainment as part of their refusal to die. The second case is also discovered in two ways: recognition of death is revealed while the ideal world is presented; or the continuity of life and death is shown in cyclical structure of death-regeneration without an ideal world. While the former shows cyclical perceptions in spatial aspect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atter, offering a cyclical perception through death-regeneration on an ontological level. The last case expresses in one of two ways: death is as an auxiliary means of expressing the emotions of the poetic speaker; or death is a criticism of reality, along with the leading aesthetic concepts such as grotesqueness.
    It is meaningful that each case provides a clue about the tragedy in a manner contrary to the optimistic aesthetics such as humor, which has previously been pointed out as a key aesthetics of this genre. This research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aoist transcendence and Confucian reality. The foundings are poetically significant in that they suggest the possibility of eroticism, which is a long-standing controversy in the field.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necessary to have thorough awareness and education on death, beyond the boundary between daily life and non-daily life(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