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기와 봉쇄 : 2000년대 한국 독립영화 속 북한 재현 (Dereliction and Containment :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Korean Independent Films in the 2000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6
35P 미리보기
유기와 봉쇄 : 2000년대 한국 독립영화 속 북한 재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56권 / 61 ~ 95페이지
    · 저자명 : 송효정

    초록

    2000년 전후, 한국사회의 분단에 대한 상상력은 한국전쟁을 반복적으로 소환하던 냉전적 회고적 서사에서 벗어나 비로소 동시대적 지평으로 확장되기 시작하였다. <경계도시>(홍형숙, 2002), <경계도시 2>(2010)는 ‘월북지식인’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여기서 북한과 접촉한 자는 불온한 전염력을 지닌 ‘이념적 경계인(in-between)’으로 등장한다. 2010년을 전후로 허면 이념형 경계인 내지 북한재현 관련 국가보안법이나 표현의 자유 논쟁이 가라앉고 탈북자 형상을 소재로 한 상업영화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독립단편영화 <여기가 끝이다>(박인제, 2003)나 <배낭을 맨 소년>(정지우, 2003)등은 윤리적 카메라 워킹과 사실주의적 관찰로 탈북 청(소)년의 자본주의사회 부적응기를 보여주었다. 독립장편영화 <처음만난 사람들>(김동현, 2007), <무산일기>(2010) 등은 탈북자와 이주노동자의 정체성을 겹쳐두었다. <줄탁동시>(김경묵, 2011)와 <마담B>(2016) 등은 성소수자, 성매매자가 합법․불법의 경계를 오가며 공간을 유랑하는 모습을 선보인 실험적 기법의 영화다.
    북한 출신 청소년은 이주와 떠남이 가능한 배낭을 싸든 채 길 위에 선 형상으로 선보였다. 오토바이는 남한사회에서 노동을 위한 수단인 동시에 유일한 탈주․초월의 수단이었다. 탈북자는 종종 고백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커밍아웃하게 되는데, 성소수자성이 탈북민의 정체성과 겹쳐진 영화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탈북자가 남한사회에서 자신보다 더 사회적으로 열악한 취지의 존재자(외국인 노동자, 유기동물 등)와 동일시하는 연민의 빈번히 발견된다.
    이러한 영화는 이후 <꿈의 제인>(2017), <스틸 플라워>(2016), <박화영>(2018), <소공녀>(2018) 등 가출팸 청소년, 홈리스, 성소수자 등 사회적 소수자를 등장시킨 독립영화들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앞선 탈북자 영화들이 청년세대가 느끼는 고립감과 곤혹에 대한 심리적 반영이었음을 방증하는 한편, 한국 독립영화에서 탈북자를 소재적으로 취해오지 않았는지 탐문하게 한다.
    2000년대 한국의 독립영화는 투사하는 카메라와 공감-동일시라는 정동적 기제를 통해 탈북자 영화를 선보여 왔다. 탈북자 재현 영화는 한국사회 구성원 특히 청년세대가 느끼는 경제적 고립과 감정적 봉쇄에 대한 정서적 반응으로도 독해될 수 있다. 이는 전반적으로 한국의 독립영화가 전위와 저항의 에너지를 상실하고 자기연민과 동정의 내적 충동에 휩싸인 현실의 반영은 아닌가 고민해 봄직하다.

    영어초록

    In the 2000s, the imagination of the division of Korean society escaped the Cold War recall narrative that repeatedly summoned the Korean War. It began to expand into contemporary horizons.
    <Boundary City>(Hong Hyung-sook, 2002) and <Boundary City 2>(2010) are works based on ‘North Korean intellectuals’. Here, the person who comes into contact with North Korea appears as an ‘in-between’ with uncomfortable infectious power. Since 2010, debates on National Security Law and freedom of expression have subsided, and feature films of North Korean refugees have begun to emerge.
    The independent short film <The End of The Road>(Park In-je, 2003) and <A Boy With The Knapsack>(Jung Ji-woo, 2003) showed ethical camera work and realistic observations and capitalist social maladjustment of the North Korean refugee. The independent feature film <Hello, Stranger>(Kim Dong-hyun, 2007) and <Musanilgi>(Park Jung-bum, 2010) have overlaid the identity of defectors and migrant workers. The film is an experimental technique in which sex marginalists and prostitutes show off the space between legal and illegal boundaries.
    North Korean youth showed off their backpacks, which were able to migrate and leave. Motorcycles were a means of labor, escape, and transcendence. Refugees often come out of their identity through confessions. This characteristic was highlighted in the film where the sexual minority overlapped with the identity of the refugee. It is frequently found that North Korean refugees are identified with socially disadvantaged being (foreign workers, abandoned animals, etc.) in South Korean society.
    These films are then transformed into independent films that feature social minorities such as runaway teenagers, homelessness, and LGBT and minority groups. Reproducing North Korean refugee films are an emotional reaction to the economic isolation and emotional blockade felt by Korean society members, especially the younger generation. These films are a reflection of the reality that the Korean independent film industry has lost the energy of vanguard and resistance and is surrounded by the internal impulses of self-compassion and compa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후